나의 첫 번째 행성 이야기 - 어린이를 위한 태양계의 모든 것 나의 첫 번째 과학 이야기
브루스 베츠 지음, 조이스 박 옮김 / 미래주니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지구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면서 우주와 관련된 영화들도 선보이고 있죠. 그로 인해 아이가 우주에 대해 여러 가지 호기심을 갖게 되었어요. 관련된 질문으로 물어볼 때 적절하게 대답해주기 곤란한 경우가 많았는데, 태양계에 대하여 어린이의 눈높이에 딱 맞게 설명된 좋은 책이 출간되어 읽어보았습니다.



20210413_145324.jpg

나의 첫 번째 행성 이야기
(브루스 베츠 지음, 조이스 박 옮김, 미래주니어)

가운데 파랗고 알록달록한 지구 모양이 너무 예쁘죠.
이렇게 아름다운 행성에 살게 된 것을 정말 행운으로 생각합니다.

우주에는 지구 주위에 여러 행성들이 많은데, 아이들이 딱 궁금할 수 있는 부분이 정확하게 설명되어 있어서 참 좋은 책입니다. 
그림도 크도 내용도 간결해요.


20210413_145447.jpg


태양계 각 행성의 종류와 모양, 간단한 내용 설명이 자세히 나와있어서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실제 비율과 다르게 표현된 거리와 크기 때문에 살짝 마음이 쓰였지만 이 부분에서는 행성이 서로 크고 작다는 것을 비교하는 정도, 배열된 순서를 이해하는 정도로만 그림을 활용하면 될 것 같아요. 왜냐하면 책을 읽다보면 행성을 하나씩 설명할 때 각각의 크기와 태양까지의 거리가 지구와 비교하여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목성 은 지구 1300개 이상의 크기라고 하니, 한 장의 그림 안에 크기를 살려 그려넣기는 쉽지 않을 것 같네요. ^^


20210413_145521.jpg


금성의 표면이 빵 굽는 오븐보다 더 뜨겁고 대기권은 담요를 덮은 것처럼 항상 따뜻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그림으로 잘 표현되어 있어서 오래 기억될 것 같아요. 탄산음료 속 거품과 같은 기체가 금성의 대기에 많이 포함되어 있고, 구름이 많아서 금성에 서 있다면 태양이 보이지 않을 정도라네요. 금성에는 사람이 살 수 없을 것 같다고 우리 아이가 말하네요.


20210413_145617.jpg


해왕성 뒤에 있는 왜행성들 4개는 명왕성, 에리스, 하우메아, 마케마케입니다. 명왕성은 예전에는 행성이라고 말했지만 이제는 행성이라고 하지 않고 왜행성이라고 해요. 그 이유는 명왕성과 크기가 비슷한 다른 물체들을 발견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아이와 함께 이야기 나누었는데 많이 신기해했어요. 특히, 하우메아가 구 모양이 아닌 길쭉한 모양인 것이 저도 신기하더라고요. 게다가 고리도 있고요.


20210413_145652.jpg


별을 찾고 관찰하고, 연구하는 일을 하는 과학자들 덕분에 우리가 이 모든 것을 알게 된 거죠. 우리 아이도 이 책 덕분에 별과 우주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갖고 하늘을 바라보게 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됩니다. 책의 뒤쪽에는 용어집이 있어서 행성, 궤도, 대기, 달, 우주정 등 어린이들이 궁금해하는 낱말에 대해 눈높이 설명이 잘 되어 있어요. 선명한 사진과 친절한 설명이 정말 마음에 듭니다.

신비한 우주의 세계가 궁금한 어린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나의첫번째행성이야기, #브루스베츠, #조이스박, #미래주니어, #우주관련어린이책 #초등추천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