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플레이그라운드
한선관.류미영.정유진 지음 / 성안당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꽃이름, 풀이름 정말 못 외워요.

아이가 물어보면 척척 대답해 주고 싶은 마음 굴뚝같지만

현실은 정반대였지요.


하지만, 이제는 걱정없어요.

식물 사진 딱 찍기만 하면

꽃이름, 이미지, 특징 등이 주루룩 나오니까요.


식물도감도 필요없고, 꽃이름 외울 필요 없고...

그저 인공지능 도구만 잘 활용한다면

언제든지 꽃에 대해 척척 말할 수 있는 세상이 온 거죠. 와우!

인공지능 세상을 환영합니다.


이런 인공지능을 이론이나 알고리즘을 따분하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재미있게 놀아보고,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재미있게 인공지능에 대해서 알 수 있도록 돕는 좋은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20201220_094801.jpg

AI 플레이그라운드 

(한선관, 류미영, 정유진 지음, 성안당)


인공지능의 무한한 세계는 익히 들어서 알고는 있어요.

이미 우리 곁에 가까이 온 여러 가지들을 경험하면서 말이죠.


이 책은 게임, 형태와 인식, 예술과 창의성, 기계와 머신러닝, 

챗봇과 언어, 인공지능과 윤리 이렇게 6장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그리고 마지막 부록에서는 구글 AI 실험실로 

머신러닝을 쉽게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14개의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20201220_094823.jpg


이 책에서 재미있는 활동이 많았지만,

저와 우리 아이가 재미있게 한 활동 중 하나는

'나이 추측하기'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검색 엔진으로, 사진 속 인물의 나이가 몇 살인지 알려주는 프로그램이예요.

https://www.how-old.net 사이트에 있는 검색창으로 

인터넷에 있는 사진들을 검색하여 사용해 볼 수도 있는데,

스티브잡스의 여러 사진들이 다른 나이대를 표현하는 것도 신기하더라고요.


20201220_095426.jpg


인터넷에 있는 미스터트롯 사진을 선택해 봤더니,

임영웅 36살, 이찬원 19살, 정동원 15살... 얼마나 정확한가요? ^^

AI가 주름이 많으면 나이가 많다고 생각하여 아기 사진을 36살로 표기하기도 하고, 인형 얼굴도 나이를 알려준다고 하니 아직은 많이 정확하지는 못하네요. 하지만 추가적으로 알고리즘을 수정, 보완해 나간다면, 점점 더 정확하게 인지하겠지요.


20201220_095429.jpg



이 사진은 우리 아이가 'AI 기반의 자동채색'을 해 주는 사이트

https://petalica-paint.pixiv.dev 에서

마음에 드는 사진을 선택하여 자동채색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칸나모드, 사츠키모드, 탄포포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왼쪽 도구에서 한 색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부분이 모두 그 색으로 변해요.

완성된 사진은 저장할 수도 있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도 있어요.


이 외에도 우리 아이는 빨리 그리기 게임을 좋아했어요.

또, 6장 내용 중에서 AI에게 해양 생물을 학습 시키는 활동을 통해 머신 러닝의 원리와 데이터 편향의 문제,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었어요. 마지막 8단계에서 수료증도 받았답니다.


저는 105쪽 이미지 인페인팅으로 사진의 손상된 부분을 복원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어요. 사진 속 고양이를 지우고 그 부분을 컴퓨터 생성 이미지로 메우는 이미지 기법이 신기했어요. 

또, 클로바 더빙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순서대로 자세히 설명해 주신 부분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인공지능 놀이터에서

즐겁게 놀면서 AI교육과 학습을 체험하고 싶은 분들께

이 책을 추천합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AI플레이그라운드, #성안당, #한선관, #류미영, #정유진, #인공지능, #인공지능놀이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