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말해요
프란츠 요제프 후아이니크 지음, 베레나 발하우스 그림, 김경연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요즘 손으로 말한다는 건 예전보다는 그리 낯설지 않은 것 같아요.
우리 아이도 매일 보는 뉴스에서 수화로 통역해주는 분을 보고,
청각장애인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으니까요.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좋은 책이 출간되어 읽어보았어요.


20200828_021507.jpg

손으로 말해요 
(프란츠 요제프 후아이니크 글, 베레나 발하우스 그림, 김경연 옮김)

이 책의 주인공은 '리자'입니다.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이예요.
아무 소리도 안 나는데, 현관문을 열어주는 엄마를 신기해 한다는 첫 장면에서는 조금 안타까움이 느껴지더라고요. 불편한 점도 많을 것 같고요.

20200828_021520.jpg


'리자'는 친구들과 함께 놀고 싶지만,
가까이 온 공을 차달라는 친구들의 말도 듣지 못하고,
수화로 표현하는 낯선 광경을 놀리듯 대하는 친구들에게 이해받지도 못하죠.
 
이때 멋쟁이 친구 '토마스' 등장!
얼마전 이 동네로 이사온 진짜 멋진 친구예요.
왜냐하면, 리자와 친구들 사이를 통역해줄 수 있거든요.
친구들에게는 말로, 리자에게는 수화로!
 

20200828_021548.jpg


이 멋진 광경을 본 친구들은 수화의 매력에 빠지죠.
토마스가 정말 멋있었을 것 같아요. ^^
손을 아무렇게나 움직이는 게 아니라, 암호처럼 각각을 나타내는 뜻이 있다는 설명과 함께 친구들에게 간단한 수화도 가르쳐 주고요.

이렇게 토마스가 멋질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부모님이 청각장애인이시기 때문입니다. 부모님이 아프셔서 병원에 가실 때, 의사선생님과 부모님 사이를 통역해주는 멋쟁이 토마스!

토마스는 친구들에게 자기 집을 구경시켜 주는데요,
집으로 가는 길에 시끄러운 기차길에서도 리자와 토마스는 대화가 자유롭죠.
친구들이 또 한 번 수화를 배우고 싶어하는 이유가 되고요.

이 때, 한 친구가 여러 가지 소리의 고마움을 느끼며, 자연의 소리에도 감사함을 표시해요. 리자는 듣지 못하는 아쉬움을 표현하죠.
토마스는 파도 소리와 물 끓는 소리가 비슷하고, 해와 달과 별은 아무 소리도 나지 않으며, 눈은 뽀드득 소리를 낸다고 쿨하게 알려줘요.
또 다른 친구는 눈이 소리를 삼켜 세상을 조용하게 만든다고 알려주니,
리자의 얼굴이 환해집니다. 리자의 친구들이 너무 착하고 예쁜 마음을 가져서 칭찬해 주고 싶더라고요. ^^

축제가 열리는 광장을 지날 때에는 리자가 제일 먼저 풍선을 들고 춤을 추기 시작하고, 친구들도 따라서 춤을 춰요. 
모두 함께 춤을 추는 것이, 소리가 들려도, 들리지 않아도 
모두 함께 즐거운 세상을 만들어 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 같아요.

20200828_021613.jpg


청각장애인 어머님께서 빛이 나는 초인종 덕분에 문을 열어주실 수 있어요.
전화기도 자명종도 빛으로 알림하면 되고요! 
팩스, 이메일, 휴대폰 문자 등을 이용한 글로 서로 소통하면 되고, 
영상통화로 수화를 하면 되는 거죠.

20200828_021846.jpg


리자 엄마는 초인종 소리가 나지 않았어도 문을 여는 리자를 보고 놀랍니다.
리자도 엄마를 놀라게 해 주고 싶었나 봐요. ^^
3시에 토마스 오기로 한 건 엄마에게 비밀! 하하...

책의 뒷부분에는 수화와 지화가 무엇인지 설명되어 있어요.
수화는 대화를 나누기 위한 단어나 문장의 약속이고,
지화는 자음, 모음등을 나타내는 약속입니다.
지화는 이 책의 맨 앞과 맨 뒤에 자음, 모음, 숫자가 그림과 함께 되어있어 아이와 함께 손동작으로 배워 보았어요. 수화를 처음 배워보는 우리 아이는 앞면과 뒷면이 햇갈린다면서 수화 배우는 유튜브 영상을 찾아서 스스로 공부하기도 하더라고요. ^^

저는 수화가 대화의 뜻만 전달할 뿐 아니라, 감정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큰 소리로 말하고 싶으면 손을 크게 하면 되고요.
얼굴 표정을 웃거나 눈살을 찌푸리는 등 표정술을 이용하여 감정까지 전달한다면 뜻도 더 정확하게 전달될 거예요.

청각장애인의 등뒤에서 만져서 놀라게 하지 말고, 앞쪽에서 나타나는 것이 배려라는 것도 알게 되었지요. 우리 아이도 장애인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할 수 있도록 미리 책으로 자세히 배우니 좋더라고요. 
한 편의 동화라서 내용도 재미있었습니다.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