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건국, 진짜 주인공은 누구일까? 푸른숲 역사 퀘스트
이광희.손주현 지음, 박양수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렸을 때 역사, 한국사, 세계사 관련 도서를 잘 안 읽었나...

기억이 잘 나지 않지만...

저는 아직도 그 분야가 재미도 없고, 잘 알지도 못해요.

우리 아이는 저와 같은 어려움 주고 싶지 않아서

어렸을 때부터 관련 도서를 재미있게 읽어주려고 해요.


조선의 건국과 관련한 재미있는 책이 출간되어 소개합니다.


20200816_170735.jpg


조선 건국, 진짜 주인공은 누구일까 
(이광희, 손주현 지음, 박양수 그림 / 푸른숲주니어)

앞표지도 재미있지요?
이 이야기는,
역사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반짝반짝 역사 연구소'의 명 박사가

조선은 누가 세웠나요?
조선을 건국한 '진짜' 주인공이 누군지 알려주세요!

라는 메일을 받게 되면서 시작됩니다.
답은 뻔히 '이성계' 라고 생각하여 인공지능 역사 로봇 알파봇 조수에게 답장을 보내라고 하는데, 이 똑똑한 조수 알파봇이 
조선 건국의 주인공을 3명이라고 하네요.


20200816_170908.jpg


이성계는 첫번째 왕이고,
이성계를 왕으로 만든 사람이 정도전이고,
조선을 세우는 데 누구보다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 이방원이니까요.
모두 33.3%라니...

그래서, 알파봇과 명박사님은 조금 더 자료를 찾아서
과연 누가 더 조선 건국에 기여를 많이 했을까 알아내기 위해 노력해요.
 
조선 건국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은 '위화도 회군'이고,
그것을 성공시킨 주인공이 이성계지요. 그럼, 이성계가 주인공인가?
먼저, 이성계에 관련한 배경 지식을 지루하지 않게 설명해 줍니다.


20200816_170946.jpg


이야기 중간에는 '알파봇의 정보 대방출' 이라는 코너가 있어요.
조금 더 깊이있는 역사 지식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정도전이 주인공인가에 대해서 설명할 때에는
'잘난척 타임'이라고 제목을 달고
정도전이 직접 말하는 것처럼 해서 더욱 재미있었어요. 하하...

곧고 곧은 지조를 함께 지키며 서로 잊지 말기를 길이 길이 맹세해요. 몽주 선배.♡

하하... 두 사람이 유배지에서 편지를 주고받으며 서로를 간절히 그리워했다고 하는 부분을 요즘 대화로 해석하여 바꿔쓴 부분도 재미있네요.

이 책은 삽화도 마음에 듭니다. 과전법 시행 전과 시행 후를
재미있게 비교할 수 있도록 만화로 그려주셔서,
서민들의 마음이 이해가 쏙쏙!
 
책의 중간에는 '여기서 잠깐' 이라는 코너도 있어요.
이방원의 하여가와 정몽주의 단심가 등을 간단히 설명하는 등
쉬어가는 코너이지만, 배경지식을 더욱 풍성하게 해 줍니다.


20200816_171223.jpg



고사성어 '두문불출'이란 말도 소개해 줍니다.
'문을 닫아 걸고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는 뜻인데, 
고려의 충신들이 문을 닫고 나오지 않아서 마을에 불을 지르면 어쩔 수 없이 나올 줄 알았지만, 끝내 나오지 않고 불에 타 죽었다는 슬픈 이야기... 
마을 이름도 두문동이 되었다네요.
이해하기 쉽게 삽화를 코믹하게 그려주셨는데, 왠지 더 슬프네요.

마지막 부분에서는 이성계 팬클럽 '킹왕짱 이성계', 정도전 팬클럽 '도담 삼봉', 이방원 팬클럽 '진격의 이방원' 이렇게 각각의 팬클럽 회장이 대표로 나와서 토론을 하는 부분이 있는데, 재미있어서 많이 웃었네요.

이 세 명을 건국 상징성, 군사력, 개국 전략, 기본 설계, 걸림돌 제거, 기반 다지기의 6부분을 별점으로 평가한 부분도 신선했어요. 이성계는 건국 상징성과 군사력에서, 정도전은 개국 전략과 기본 설계에서, 이방원은 걸림돌 제거와 기반 다지기에서 만점을 받았네요.

그래서, 결국 진짜 조선을 건국한 주인공은 누구인가요? 조선 건국의 상징인 이성계? 이성계를 만든 브레인 정도전? 결정적 위기를 막아낸 이방원?

정답은 바로바로~
독자의 몫! 우리 스스로 논리적으로 생각해 보기를 권하시네요.
저도 책을 다시 한 번 꼼꼼히 읽고 제 생각을 정리해 봐야겠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