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 - 한 권으로 읽는 도덕경과 한비자
상화 지음, 고예지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공자 맹자 노자 숙자 말자...


 제자백가에 대해 들어본 사람은 많지만 제대로 아는 사람은 별로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 학창시절 윤리나 세계사 과목에서 잠깐잠깐


등장하는 그들. 그들이 토론하는 인간이 악하네 선하네 하는 답없는 문제에 흥미를 느꼈다면 일종의 변태 취급을 받았을 것이고 그저


어서 내 앞에서 사라져버리기만을 기다리게 하는 존재들이 그들이었을 거다.


 나도 그랬다. 노자는 그냥 아무것도 하지 말라고 설파하며 신선놀음하던 아저씨, 한비자는 강력한 법치를 통해 진시황의 치세를 도운


사상가 정도로만 알아두고 그냥 살아왔다. 얄팍한 기억에 의지해 둘은 거의 반대되는 사상가였겠거니했다.


 그런데 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니. 생각해보니 둘다 잘 써먹으면 짬짜면, 양념반후라이드반과 같은 효과를 낼 지도 모른다.


 이 김에 노자와 한비자에 대해 조금 더 탐구해볼 겸해서 읽어봤다.


 한비자가 여러 사상을 종합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다는 것은 처음 알았다. 때로는 의아하게도 노자의 사상을 빌리기도 하는데 그런


복합적 성격 탓인지 한비자 내에서도 가끔씩 모순이 발견된다. 어쨌든 한비자가 마키아벨리와도 통하는 면이 있지만 무자비한 법치만을


주장한 것은 아니고, 실리와 제왕의 기술을 강조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금도 통용되는 얘기가 상당히 많아 얼마전 읽은 리더십


도서에 나오는 개념들과도 많이 겹친다.


 노자는 책 딱 한 권을 남겼다. 그것도 자기가 쓰고 싶어서 쓴 게 아니라 관문통과용 뇌물로 고작(!) 5천자를 적었다. 여기까지는 어렴풋이


들었던 기억이 나는데 어쨌든 그 고작 5천자의 책은 제대로 읽어본 기억이 없다. 널리 알려진 대로 노자는 무위의 도가 천하를 평화롭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그 내용까지 들여다보니 상당히 파격적이다. 기본적인 농업활동 외의 경제활동에 크게 제약을 두고 백성의 욕망


자체를 싹트지 않게 만들면 다툼이 없고 태평하다는 것. 공산주의나 반자본주의적 트렌드와 일견 비슷해보인다. 그런데 그렇게 백성의


욕망을 통제하는 것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무위의 개념에서 벗어난 것이 아닌지 혼란스럽다.


 이 책이 좋은 것은 두 사상을 좀더 깊이 탐구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 경전이 쓰인 시기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사례와 


연결지음으로서 좀더 깊은 지혜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는 점(중국 고사가 대부분인데 중국엔 워낙 보물같은 고사가 많으니...)


 아쉬운 점은 두 사상을 통합하기보다는 분류해서 서술해놨기에 둘을 연결시키는 것은 독자의 몫이라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