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화제가 된 지는 좀 오래되었건만 이제서야 읽어보게 되었다. 계급투쟁을 선동하는 경향의 내용이 아닐까 걱정했는데 충분히 

읽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어서 다행이었다. 


 저자의 말대로 이 책은 쉬우면서도 어려운 경제학 책이다. 누구나 알 만한 내용을 다루다가도 지금 경제학이 제대로 나아가고 있는

것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게 하는 내용도 있다. 때로는 수긍하기 힘든 논리가 껴 있기도 하지만 현 제도와 그를 뒷받침하는

경제학이 모든 인간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이상적인 상황을 낳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는 충분히 공감한다. 

THING 1 자유 시장이라는 것은 없다 

 : 정말 맞는 말이다. 세상 어느 시장에든 어느 수준의 통제가 존재한다. 시장이 성립한다는 그 사실 자체도 사실 일종의 규칙이

 작용해야 가능한 것 아닌가.


THING 2 기업은 소유주 이익을 위해 경영되면 안 된다 
 : 단기이익에만 치중하는 주주들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는 점, 충분히 설득력 있었다. 소유주의 이익이 아닌, 진정 그 기업을 아끼고  

기업의 미래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을 위한 경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ING 4 인터넷보다 세탁기가 세상을 더 많이 바꿨다 
: 기술의 효과를 과대평가하는 설레발을 지적했다. 생각해보니 정말 그렇다. 21세기가 되면 신세계가 펼쳐질 것이라 믿었던 우리들.

종종 첨단기술은 실제보다 더 급진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 스마트폰이 생각보다 스마트하지 못한 것처럼. 기술에 대한 과신은 피해야  

할 태도다.


THING 7 자유 시장 정책으로 부자가 된 나라는 거의 없다 
 : 영국, 미국 등 현재 자유 시장을 주장하는 부자 나라들의 부는 자유 시장 정책에서 오지 않았다는 불편한 진실.


THING 8 자본에도 국적은 있다 

 : 국적이라기보다는 성격이 있다라는 말이 더 좋을 것 같다. 자본주의 성격에 따라 돈은 구세주가 되기도, 악마가 되기도 한다. 


THING 9 우리는 탈산업화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 아니다 
 : 동감이다. 서비스만 먹고 살 수 있는 사람은 없다. 1차산업, 제조업은 인간 경제 생활의 기본이다. 


THING 11 아프리카의 저개발은 숙명이 아니다 
 : 지원 이후 아프리카의 성장이 오히려 악화되었다는 이상한 현실. 


THING 14 미국 경영자들은 보수를 너무 많이 받는다 
 : 개 또라이들. 어떻게 그따위로 처먹을 생각을 하는지.. 낯짝이 10cm 강철판인지 개념리스한 건지.


THING 16 우리는 모든 것을 시장에 맡겨도 될 정도로 영리하지 못하다 
 : 요즘 자주 '모든 인간이 충분히 똑똑하지는 않다'라는 생각을 한다.

 자유시장 이론의 기본 전제는 '인간 모두는 합리적 결정을 내린다', '인간은 자신의 이익을 중시한다'다. 

 나도 아직 인간은 시장을 갖기에는 부족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THING 17 교육을 더 시킨다고 나라가 더 잘살게 되는 것은 아니다 
 : 원래 교육이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 아니라 인재가 교육과정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책의 내용은 생각보다 훨씬 더 충격적이었다.


THING 22 금융 시장은 보다 덜 효율적일 필요가 있다 

 : 좀 어릴 때, 선진금융기법이라는 요상한 용어를 접하고 의문을 가졌었다. 어떻게 금융으로만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가?

   실제세계에서는 실제로 생산된 것이 전혀 없는데. 그를 추종하는사람에게 좀 물어보아도 제대로 된 답을 내지는 못했다.

  내가 모르는 것이겠거니, 좀더 크면 알게 되겠지 했는데 그 기법이라는 게 금융위기와 함께 폭삭 무너져버렸다.

   선진금융기법이라는 허울 아래 사기치는 거짓말쟁이들을 우리는 왜 막지 못했는가. 다시 이런 일이 생기지 않게 하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THING 23 좋은 경제 정책을 세우는 데 좋은 경제학자가 필요한 건 아니다

 : 원래 경제학에 불만이 많았다. 경제학이 실제로 유용한 학문이라면 세상 최고 부자는 모두 경제학을 한다는 사람들이어야 한다. 

 경제학이라는 게 워낙 꿈보다 해몽이라 짜증나는 경우도 많았다. 기적의 경제성장을 이끈 리더 중 경제학자는 드물다는 재미있는 사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