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작은 이력서 - 기음증, 공기연하증, 성대마비, 배에서 꼬르륵 등 호흡장애에 대한 최초의 이야기
Wooya 지음 / 바른북스 / 2025년 6월
평점 :
Wooya의 <나의 작은 이력서>는 제목부터 시선을 끈다. '이력서'라 하면 흔히 화려한 경력이나 스펙 등으로 남들에게 자랑할 만한 기록을 떠올리지만. 이 책은 정반대의 의미로 다가온다.
저자는 자신에게 일어난 신체적 변화와 그에 따른 고통, 그리고 그것을 견뎌내며 스스로 터득하고, 알기 위해 공부했던 삶의 태도를 담담하게 기록한다.
마치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이력서가 아니라. 스스로를 증명하기 위해 쓴 작은 일기 같은 글이다.
결국 나의 이력서는 나를 돌아보고 나 스스로 나를 아프게 하지 않기 위한 노력의 이야기들이다.
우리에게도 각자의 이력서가 존재할 것이다.
스펙이 아닌 진정한 나를 돌아보며 쓰는 이력서의 길잡이가 되어줄 책이 아닐까
인상 깊었던 부분은 저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작은 이력서'라고 말하는 것이다.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이력서가 아닌 그의 이력서는 실패와 고통, 그 안에서 얻은 작은 깨달음으로 채워져 있다. 그것은 타인에게 내세울 업적이 아니라, 누군가에게 '당신도 괜찮다'라고 말해줄 수 있는 삶의 조각들이다.
이 책을 읽으며, 나는 한 사람의 고통이 다른 이들에게 희망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는다.
누구나 아프면 검색을 해보고 병원을 찾아간다. 병원에서도 고쳐주지 못하는 상황을 만나면 이곳저곳 방법을 찾아다니는 에너지도 무시할 수 없다.
그리고 대개 좌절하고 불안해하면서 하루하루를 지옥 속에서 보낸다.
저자는 달랐다. 병원이나 인터넷에서도 해결할 수 없는 방법들을 스스로 찾아내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누구나 주위에 병자가 있으면 반 전문가가 된다는 말이 있듯 자신을 끊임없이 들여다보고 연구했기에 저자는 전문가가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는 자신의 여정을 기록하면서도 다정한 위로를 아끼지 않는다. 아프지 마세요. 이 흔한 말이 저자가 하니 특별한 말로 들린다.
그가 직접 몸으로 겪어낸 절실한 바람일 것 같아서이다.
그 간절함이 고스란히 전해지면서, 혹여 우리가 건강하다면 얼마나 감사해야 할 일인지, 늘 간과하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경각심을 일개 운다.
이 책을 통해 '이력서'에 대해 다른 시각이 생겼다.
화려함으로 나를 드러내지 않아도 되는 이력서. 우리에게는 모두 작은 이력서가 있다.
나의 작은 이력서를 무엇으로 채울까 생각하게 된다.
여러분들은 무엇으로 채우고 싶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