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으로 생각하기 -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보는 사고의 힘
스즈키 간타로 지음, 최지영 옮김, 최정담(디멘) 감수 / 포레스트북스 / 2022년 6월
평점 :
수학으로 생각하기
우리딸이 초등학교에 입학했다.
어깨너머로 숙제하는 것을 지켜보면 수학(수학이라고 쓰고 산수라고 읽는다)을 가장 좋아하면서도 숙제를 힘들어 하는데 자세히 살펴보니 반복적인 사칙연산에 대하여 지겨워하는 것이었다.
아직도 우리는 수학=계산으로 생각되는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그래서 수학을 공부하다가 지치게 되고 정작 중요한 부분은 놓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된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내가 그런 생각이 들었다.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를 지나면서 연산에 대한 반복, 문제풀기에 대한 숙달에 대해서만 많이 연습해왔었고, 정의가 무엇인지, 왜하는지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관심을 가져본적이 없다. 그러다보니 수학은 오퍼레이팅을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지에 대해서만 치우쳤던 것 같다(내가 졸업한지 꽤 되었으니 부디 요즘은 그렇지 않기를 바란다) 그 결과, 수학에 대한 흥미를 잃어갔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 책은 그러한 잘못된 부분을 통렬하게 짚어나가는 책이다.
아무래도 일본도 우리나라와 비슷한 교육환경을 가졌을 것이고, 그래서 더 공감하는 부분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 정의가 중요하다
2장 문제를 이해하면 답이 보인다
3장 “왜?”부터 떠올릴 것
4장 문해력이 99%
5장 디테일의 힘
6장 큰 그림을 보자
7장 귀납적으로 사고하기
8장 수학에서 조건은 힌트다
첫장에서부터 머리를 한대 맞은 것 같은 충격을 살짝 받았다.
그래 근의공식, 원주율을 그냥 외우라고 배웠지, 과정을 도출하는 부분을 깊이 있게 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아니 분명히 교과서에 도출하는 방법이 있었던 것은 기억이 나는데, 그 방법은 하나도 생각이 나지 않고, 결과물만 생각이 뚜렷할때, 그리고 그것을 응용하는 문제형태만 기억이 날때의 당혹감이란..
게다가 지금까지 그것에 대해서 문제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나를 마주할때의 반성과 이미 지나간 시간에 대한 아쉬움은 이 책을 읽고 얻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훈이 아닐까 생각된다.
덧붙임
#1. 학생때 이 책을 읽었어야 했다. 그러면 내 수학성적이 많이 바뀌었을지도 모르겠다.
#2.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이라는 말이 많이 생각나게 하는 책이다.
#3. 관심있는 분야의 책이라면, 딱히 작가를 가리지는 않지만 일본인은 살짝 선입견이 있었는데, 이 책을 보니 선입견이었다 것 같다. 나이를 먹을 수록 유연해져야 더 많은 것을 배울수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