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역사에세이다. 

연도와 사건으로 원인과 결과, 그후 변화들로 역사를 서술하는데 익숙해 있던 눈에서 현대사를 구조적 필연성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행위자관점과 최신의 연구성과를 반영하여 역사인식의 범주를 확대하기를 바라며 쓰여졌다.

 

대표적으로 1.2차대전을 새로 써야 하는 이유를 흥미진진하게 읽었으며 아렌트는 아이히만에 속았다는 장 또한 악의 평범성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아이히만들'에 대한 분석이 미흡했으며, 아이히만들에 대한 최신의 재판과정으로 '능동적 가해자'로서의 자기형성에 주목하도록 한다.

 

선의 평범성.

 

 

개념은 그 후의 해석에 의해서 새로 생명을 얻기도 하고, 낡은 것을 의문시하게 만들기도 한다.

 

현대사 몽타주라는 제목처럼 이 책은 한겨레21에 '이동기의 현대사 스틸컷'이란 제목으로 연재한 글을 토대로 대폭 고쳐서 쓴 글이다. 그의 글에서 2016~2017년 한국의 촛불혁명의 뜨거웠던 현장을 다시 추억할 수 있었다.

 

그때는 뜨거웠고 지금은 미지근한가.

어느 시절 , 어느 시대 치열하지 않은 적이 없건만,

지나간 뜨거움은 공동체란 무엇이고 그들과 함께 가졌던 역사에 대한 전망과 희망을 다시 의문케한다.

 

 

중국 청년이 한국 텔레비전에서 울었다. 2014년 12월 1일 JTBC<비정상회담>에서 장위안이 눈물을 보인 것은 독일 청년 다니엘이 독일의 과거사를 반성하며 심지어 "1차 세계대전도 독일이 잘못했다"라는 ‘개념발언‘을 했기 때문이다. 장위안은 "잘못을 인정하는 독일의 태도에 감동했다"며 눈물을 보인 뒤 "이전에는 마음이 닫혀 있었는데 이젠 마음의 변화가 생겼다"고 고백했다. 가벼운 말장난이 난무하는 가운데서도 장위안은 계속 서툰 발음으로 "우리에게 언젠가는 국경선도 없는 날이 오고" 결국에는 "아시아도 유럽연합처럼 될 수 있으면"좋겠다고 말해 작은 파장을 일으켰다.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