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의 구원 후기 2017. 3. 12

 

한 철만을 품을 수 있는 마음에게 마음 전부를 쥐어 준 적이 있었다.”

(박준시인의 마음 한철에서 따왔다.)

 

아름다움의 구원이란 지속성의 구원이다.

충실성과 구속성은 서로를 제약한다.

라고 저자는 마지막에 쓰고 있다. 앞으로 가서 문장을 다시 읽으면

아름다움이 자유와 화해를 약속한다고 말한다.

 

위로를 할 줄도 받을 줄도 서투른 나는 이제 그의 말을 적당히 의심하면서 계속 읽는다.

필요성과 유용성에 지배되지 않는 사물과 활동만이 아름답다.

이 말은 자유의 구체화된 모습일게다.

 

그럼 화해의 구체화는 어떤가.

fair란 말에는 정의롭다와 아름답다는 뜻이 있다.

이 말의 이중적 의미는 미와 정의가 원래 동일한 표상으로부터 비롯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바로 뒤를 잇는 중요한 말 한마디.

주체의 후퇴는 정의에 본질적이다.

 

이제서야 긴장을 풀고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고 씨익 웃으며 계속 읽어간다.

상처가 없으면 진리도, 나아가 지각도 없다.

동일자의 지옥 안에는 진리가 없다.

그는 상처, 재앙, 은폐를 가져온다. 만약 이 말에 부정적 얼룩이 묻어 있었다면

그 얼룩을 지워내고 말이다.”(이 말은 다시 읽어봐야겠다. 이해가 안 된.)

 

재앙은 자신을 놓지 않는 자기애적인 주체의 죽음을 의미한다.

미는 은신처다.

미에는 은폐가 본질적이다. 투명성은 미와 화합하지 못한다.

미적 형식의 일치성의 핵심은 일치하지 않음에 있다.

파괴적인 것을 증오하는 자는 삶 또한 증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시 변주한다.(같은 말의 의미변주다)

예술은 자유와 화해의 실천이다.

자신의 대상이 그 자체를 위해 자유롭게 존재하도록 내버려둔다는 점에서 예술적 관심은 욕망의 실천적 관심과 다르다. (이 말도 잘 모르겠다.)

 

의지와 관심의 부재가 시간을 고요하게 만들고, 정지하게 한다.

예술이 제공하는 시간경험의 본질은

우리가 머무르는 것을 배우게 된다는 데 있다.

아마도 이것이 영원이라고 불리는 것의,

우리에게 허용된 한에서의 모습일 것이다.

 

& 한동안 한병철의 철학책을 시집을 읽듯이 꼼꼼히 읽어내려갔던 적이 있다.

그때는 알았던 걸 지금은 모르겠고, 하지만 여전히 그의 문체는 굵고 힘이 세다.

만약 철학책을 읽고 내가 무언가 쓴다면 그처럼 쓰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심한 과대망상이었음을 느낀다. 그냥 나는 쉽게, 자세히, 구구절절 쓰는 게 맞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