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웨이스트 타이드 Waste Tide ㅣ 마로 시리즈 (Maro Series) 9
천추판 지음, 이기원 옮김 / 에디토리얼 / 2024년 3월
평점 :
웨이스트 타이드는 천추판 작가의 SF장편 소설이다.
중국 작가가 쓴 SF작품은 많이 접해보지 못해서 궁금했고, 제목과 소개글을 보니, 환경 재난도 시의성 있는 이야기라 기대됐다.
중국 한 항구도시에 접한 실리콘 섬. 그 섬은 전세계 폐기물을 처리하는 곳이다.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자 리사이클링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 테라 그린은 실리콘 섬을 위기에서 벗어나게 해주겠다고 계약을 제안하고 책임자로 스콧과 통역으로 이곳 출신인 카이종을 보낸다. 그곳에서 카이종은 1년 전에 혼자 실리콘섬으로 일하러 온 미미를 만나고, 스콧은 실리콘섬을 찾은 목적이 따로 있었다. 실리콘 섬 사업의 많은 지분을 차지하는 뤄가문의 뤄진청은 막내아들이 갑자기 의식을 잃자, 그 일에 미미가 연관된 걸 알고, 미미를 찾으러 나선다.
작품 속 실리콘섬을 보면 누구나 중국이 한때 세계의 플라스틱 폐기물 등을 수입하는 나라였다는 걸 떠올릴 수 있다. 현재 중국은 폐기물을 수입하지 않고 있지만, 그 폐기물이 다른 나라로 간다는 건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이 시대는 다쳐도 신체를 로봇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그래서 다 쓰고 버려진 로봇 신체까지 폐기물로 나온다. 초반에 섬 묘사와 스콧은 처음 찾는 곳이라 그의 시선을 통해 독자도 섬과 그 곳의 사람들을 만난다. 묘사가 실감나서 그 곳의 악취도 나는 듯, 사람들의 고단한 노동환경까지 눈에 그려졌다.
중요 여성 인물이 미미만 나온 점은 아쉽다. 미미의 두 자아가 싸우는 것과 왜 미미가 변했는지 추적하는 내용에서 긴장감이 느껴졌다. 미미가 마지막에 한 선택도 이해 가면서도 안타까웠다. 작가의 고향 구이위가 폐기물을 처리하는 곳으로 유명했다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에게 점점 더 나아지는 중국을 보고 싶었다고 한다. 폐기물을 수입해서 처리하는 우리나라, 기후 위기도 심각한 상황이라 이 책이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꼭 교훈적인 접근만이 아니라, 사이버 펑크 장르를 좋아하고 현실적인 근미래 SF를 보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