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불 속에서 봉기하라 -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저항법
다카시마 린 지음, 이지수 옮김 / 생각정원 / 2023년 10월
평점 :

요즘 뉴스만 보면 외면하고 싶다. 하루가 멀다하고 사건 사고와 전쟁까지. 난 무엇을 하고 있나 돌아보면 가슴이 콱 막힌다. 그래서 이 책이 읽고 싶었다. 제목대로 이불 속에서 봉기가 가능할지 책에서 답을 찾고 싶었다.
<이불 속에서 봉기하라>는 일본 대표 서점이자, 출판사 기노쿠니야 에서 2023 최고의 인문서로 선정된 책이다. 95년생인 작가 다카시마 린은 중세사회사 연구자로 지난 몇 년 간 기고했던 글을 묶었다.
난 책으로 묶을 때 다시 쓰고 정리한 책을 좋아한다. 그래서 이 책 첫인상이 좋진 않았다. 하지만 읽으며 내 생각이바뀌었다. 이 책 제목대로 작가는 완벽함을 추구하지 않으며 그게 이 책의 구성과도 닮았기 때문이다. 작가는 기고했던 글에 현재의 생각을 덧붙여 적어 놓았다. 사람은 나이를 먹으며 생각도 행동도 바뀌고 그게 자연스럽다.
저자는 자신이 아나카 페미니스트라고 말한다. 아나키즘과 페미니스트를 합친 말이다. 우리나라에선 아나키즘이 무정부주의 정도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렇게 단순히 번역할 수 있는 말은 아니다. 저자의 주장을 따라가며 나도 읽었던 책이나 영화, 알고 있던 인물 (가네코 후미코) 등이 반가웠다. 내가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감상이나 시사점등을 작가의 글을 통해 발견했고 대화하듯 나눌 수 있어 기뻤다.
기억에 남는 문장들이 많지만 하나 꼽는다면 ‘행복을 추구하지 않는다’ 이다. 어렸을 때부터 그랬다. 평온한 게 좋았고. 나쁜 일이 없는 것만으로도 만족했다. 매일 행복할 수 없고 그게 당연하므로. ‘나약하고 주저앉아도’ 살아있다는 것. 그게 중요하다는 것. 이 말은 작가가 마지막 챕터에서 자신이 아팠던 일들을 털어놓은 글과 연결해서 보면 더욱 마음에 와 닿는다.
그리고 오래 새길 문장도 얻었다. ‘풍경에 잡아먹히지 마라. 풍경이 바뀌는 상상을 멈추지 마라.’ 이 문장을 읽는데 가슴이 뛰었다. ‘우리는 풍경의 일부이고, 불의를 미워하고 혁명을 믿으며 살아가는 것은, 이미 저항이라는 것을.’
난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좌절하는 분들이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 특히 페미니즘이 뭔데, 이게 가능하다고 생각해? 라고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꼭 읽었으면 좋겠다. 이 책은 그런 분들에게 문을 열어주는 훌륭한 입문서가 될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