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생명체로 산다는 것은 - 동물생태학자 사이 몽고메리와 동물들의 경이로운 교감의 기록
사이 몽고메리 지음, 레베카 그린 그림, 이보미 옮김 / 더숲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
난 어렸을 때 우리 동네 윗 삼거리로 가는게 두려웠다. 골목길엔 거의 모든 집이 개를 키웠는데 마당이나 길에도 개를 풀어두었고 사람이 지나갈 때마다 큰 소리로 짖었기 때문이다. 그땐 그 개들도 두려웠을 거라 생각하지 못했다.
.
.
그 후 평생 동물을 키워본 적이 없지만 아이가 여섯살이 되니 뭘 키우고 싶단 얘기를 자주 한다. 미안하지만 아직은 핑계를 대며 미루고 있다. 선인장도 죽인 엄마란다 얘기할 수는 없으니. 그래도 책이 있어 상상을 해본다. 동물과 함께하는 삶은 이렇구나.
.
.
동물생태학자 사이몽고메리 는 나와 정반대의 삶을 사는 사람이다. 태어날 때부터 지금까지 여러 동물과 함께 했고 지금도 그렇다. 이 책은 그가 만났던 동물 중 10 마리의 만남과 배운 점을 기록했다.
.
.
단순히 동물이야기만 묘사하면 어려울 수도 있었겠지만 어렸을 때 이야기 부터 부모와 불화 결혼 이야기가 엮어 그의 삶이 마음에 와닿았다.
.
.
문어의영혼 에도 나왔던 옥타비아 이야기도 반가웠고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에뮤, 캥거루 얘기도 재밌었다. 참. 귀요미 돼지 크리스토퍼도 빼놓을 수 없다. 무엇보다 감동받았던 건 저자는 항상 몸이 불편하거나 힘든 동물들을 데려와 돌보았단 점이다. 그리고 그 동물에게 자신이 많이 배웠다고 말한다. 좋은 생명체로 살아가는 법을.
.
.
책을 읽으며 저자가 겸손했고 모든 생명체를 사랑했기에 그만큼 돌려받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동물에 비할 건 아니지만 내가 아이를 키우며 배우고 또 성장하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
.
날이 갈수록 현실은 각박하다. 일터나 육아 등 힘든 일에서 벗어날 때 이 책 한 권 들고 여행지에서 읽기 참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느꼈던 충만한 사랑을 느껴보셨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