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망치고 싶을 때 읽는 책 - 삶에 지친 당신을 위한 피로회복 심리학
이시하라 가즈코 지음, 이정은 옮김 / 홍익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도망치고 싶지 않으세요? 다 때려치고 멀리 떠나고 싶지 않으세요?라고 <도망치고 싶을때읽는 책>은 독자들에게 묻고 있습니다. 당연히 있죠. 일이던, 가족이던, 친구던 모든 것들과 차단되어 "나"하나만 보고 있고 싶을때가 있죠. 인간은 심리적으로 매우 약한 존재입니다. 저자는 이럴때는 '나자신에 마주하라'고 합니다. 저자는 일, 인간관계, 책임, 결정, 거절할수없는 상황, 걱정과 두려움 등으로 나눠서 도망가고 싶을때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일본의 실용심리서는 상황들이 매우 소박하고 디테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가 보기에는 소심한 모습들이죠. 그러한 틀에서 탈출하는 법을 저자는 조언하는 겁니다. 저도 이 책을 다 읽었을때는 나를 좀더 알게 되어서 피로회복이 된 느낌이 강해졌습니다.

저자 이시하라 가즈코는 심리카운슬러이고, <자기중심 심리학>을 연구한다고 합니다.

처음은 일로부터의 도망치고 싶을때입니다. 직장은 비용을 줄이려고 인력을 줄입니다. 그러니 직원의 일은 늘어만 갑니다. 그럼 일에 치여서 수면부족까지 느끼며 심신이 지치게 됩니다. 그럼 쉬고싶다는 생각을 하지만 쉴숙가 없습니다. 그럴때는 자신자신과 마주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쉼을 인정해야 진정한 쉼이 된다고 합니다. 일을 하면서 위험신호가 많습니다. 스트레스가 쌓이고, 피곤함이 늘고, 몸이 무겁고 할때 정확한 이유없이 '그냥'이라고 얼버무립니다. 저자는 좀더 명확히 자기자신과 면담을 하라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이유를 물어야 합니다. 나 자신에 대해 솔직하라는 거죠. 그리고 그(나자신)를 진심으로 위로 해야 합니다.

'인간관계에서 도망치고 싶을때'입니다. 인간관계때문에 도망가고 싶은데, 사람이 그리워진다고 합니다. 이는 타자중심으로 살아서라고 합니다. 직장에서 싫은 사람하고 인간관계를 잘하고 싶을때에 대한 조언도 명확합니다. 그냥 대면대면하게 지내라네요. 일로 만난 사이니까요. 이는 인식에 관한 조언이죠. 궂이 잘지낼필요없다입니다 아예 도망칠것을 권하기도 합니다. 그것이 나자신을 지키는 거라고 합니다.

'책임으로 부터 도망치고 싶을때' 이런 경우는 매우 많죠. 책임의 중압감은 솔직히 어마어마합니다. 더우기 주변의 강요에 의한 책임은 더욱 힘들겁니다. 저자는 그런 책임강요에 당당히 맞서라고 합니다. 의연히 대처라는 겁니다. 구체적으로는 과도한 책임전가로 보이면 책임소재를 따져보라고도 합니다.

'결정으로부터 도망치고 싶을때'도 있습니다.이 파트에서도 'A안과 B안중에 선택못하는 이에게'식으로 상황을 구체적으로 제시를 하여 조언을 해줍니다. 독립할때의 조언도 있습니다.이런 조언들은 카운셀러로서의 많은 경험이 바탕이 되었을 겁니다.

도망을 가고 싶을때가 자꾸 반복된다면 저자는 자기자신과 마주서야 한다고 합니다. 타인의 입장이 아니라 나자신과 만나라고 합니다. 그리고 솔직히 묻고 대화하라고 합니다. 나는 남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나를 위한 존재라는 겁니다. 도망치고 싶으세요. 그럴때가 바로 나에게 진실해야 할때라는 겁니다. 그럼 피로회복이 된다는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