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다르게 생각했을 뿐인데 - 나만의 잠재된 창의성을 발견하는 법
바스 카스트 지음, 정인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바스 카스트의 '조금 다르게 생각했을 뿐인데'는 잠재된 창의성을 발견하는 방법을 서술한 책이라고 합니다. 저자 바스 카스트는 독일의 저명한 저널리스트라고 합니다. 잡지사 과학부기자로 있었습니다. 저자는 창의력은 소수만의 특권이 아니라 제목대로 조금만 KLICK(소량)으로도 충분히 누구나 창의적이 될 수있다는 겁니다. 물론 그렇되는대도 방법이 필요하다며 학자들의 연구를 소개합니다.

책은 5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앞의 2장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창의력 강화방법을 소개를 하고 나머지 3장은 구체적으로 방법론을 이야기를 서구의 심리학 실험 결과를 근거로 쌓아올립니다.

실험중에 재미난 건, 이상한 나라 엘리스 류의 일반상상을 벗어난 영상을 보여주면 휠씬더 창의적 문제를 잘 푼다고 합니다. 이 상황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고정관념으로 경험하는 스키마(프레임)을 무력화시키는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겁니다. 이와 연관해서 두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더욱 창의적일 수있다는 겁니다. 하나의 단어가 같은 단어로 번역은 되지만 대부분 문화권이 다르면 분명 뉴앙스가 달라지기 때문일겁니다.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상식을 깨는 이야기도 있는데, 집중을 하면 창의성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창의력이 필요할 때는 집중력을 낮추고 긴장을 풀고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더욱 좋다는 거죠. 색상도 창의력과 연결해서 말하길 파란색은 집중력을 떨어뜨리지만 창의력은 높이고, 빨간색은 집중력은 높이지만 창의력은 떨어뜨린다고 합니다. 저자의 주장대로 하면, 창의력을 필요로 할때는 파란색을 보면 도움이 되겠죠. 이논리는 산책으로 종지부를 짓습니다. 산책이라는 휴식은 외부세계의 집중력을 떨어뜨려서 상상력을 고취하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뉴튼의 만유인력이나 유레카를 외친 아르키메데스도 엄청난 집중의 공부를 한 후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상상력상태에 들어갔기에 가능한 업적이라는 겁니다.

저자 바스카스트는 호기심에 대한 강조를 합니다. 아이들은 끝없는 호기심을 보이는데 아이들은 그렇지를 않습니다. 아이들은 지식과 경험이 적기에 호기심이 많다는 겁니다. 성장하면서 지식과 경험이 쌓이며 호기심은 없어져간다는 거죠. 그럼 어떻게 지식과 경험을 쌓으면서 호기심을 유지할 건지를 설명합니다. 스스로 알아내게 하라던지, 재능보다는 노력을 칭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좋은 아이디어가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나온다고 하면서, 창의성은 여자가 많은 집단, 공감능력이 높고, 상호교류를 많이 하면 좋은 결과를 낳는 다고 합니다. 이는 여자들이 공감능력이 좋아서 사회성이 높기 때문이라는 재미있는 이야기도 합니다. 끝으로, 창의성을 높일려면 자신만의 창의적 둥지를 만나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 둥지는 마법에 끌리듯 만나고, 그곳에서는 몰입체험을 하고, 비슷한 사람들과 있는 곳이라고 합니다. 참 쉬운듯 어려운 것이 창의력입니다만 간단한 것부터 따라해보면 좋을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