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헬로 AI 지금, 만나러 갑니다 - 교양으로 읽는 AI의 모든 것
임춘성 지음 / 쌤앤파커스 / 2025년 9월
평점 :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인 리뷰를 했습니다.
AI는 분명 대세는 맞는것 같습니다. 문제는 AI가 계속 발전하고 있다는데, 모르는 용어가 속출을 하고 뭔가 뒤쳐지고 있다는 느낌이 들면서 뉴스에는 끊임없이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뺏는다는 공포를 자극하고 있기에 <헬로 AI 지금, 만나러 갑니다>는 겁먹은 AI초보들에게 인공지능을 만나는 방식을 봄,여름,가을,겨울로 나눠서 부담없이 인공지능에 스며들도록 인공지능의 수준을 조금씩 올려가면서 마지막에 새로운 봄을 맞이하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저자는 임춘성 연세대 산업공학과 교수이십니다. 서울대 산업공학과, 미국 버클리대 산업공학박사십니다. <매개하라>,<거리두기><당신의 퀀텀리프> <먼진신세계><베타전략> 등의 수많은 베스트셀러를 내신분이십니다.

먼저, 봄입니다. 처음만남이고 설래임이 함께 하죠. 기술은 원천기술과 응용기술이 있을 겁니다. 이중에서 AI는 응용기술과 범용기술쪽이라고 합니다. 재미있는 표현인데 인공지능을 스며드는 기술이라고 합니다. 좀더 편하게 표현하면 깔아주는 기술이라고도 합니다. 우리가 알아야할 AI특징은 엄청난 양의 컴퓨팅과 어마무시한 데이터, 그 결과 엄청난 성능의 AI라고 합니다. 이 글만 봐도 인공지능이란 어마무시한 돈과 자료가 들어감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생성형AI도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로 정리해두었습니다.

여름입니다. 봄에서는 인공지능의 존재를 알앗다면 여름은 인공지능의 분류를 말하면서 슬쩍 인공신경막을 알려주면서 퍼셉트론, 다중 퍼셉트론, 역전파, 강화학습 등 인공지능의 작동원리를 설명합니다. 뭔지도 모르고 쓰는 것은 큰 문제죠. 인공지능의 발열처럼 더운 여름에는 지향점을 알려줍니다. 왜 인공지능을 해야 하는가죠. 말그대로 인간의 지능을 카피해서 대신해주는 거죠. 그렇다고 인공지능의 모든 것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취사의 문제가 나옵니다. 자신이 가진 도메인과 인공지능의 일부 기능의 연합입니다. 요즘 인공지능에서 절대 피할 수없는 할루시네이션 즉 거짓정보에 대한 주의도 있습니다.
여름이 무르익음이면 가을 수확의 시기이면서 성숙하는 시기입니다. 인공지능의 한계라고 할까요. 저자는 인공지능의 한계로 스스로 문제정의를 못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인식능력이 탁월하고 쉬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것이 인간의 자리를 뺏았는 이유가 될수있겠죠. 그리고 춥지만 안락한 겨울입니다. 인공지능은 '겨울'이라는 단어에 아픔이 있습니다. 1956년 다트머스대에서 시작한 인공지능은 2번의 암흑기가 있었고 그것을 2번의 겨울이라고 표현합니다. 이는 인간이 느끼는 인공지능의 한계일겁니다. 이미 인공지능에 대해 익숙해져서 더 좋은 결과를 바라는 답답함같은 걸수도 있죠. 좀더 산업적으로 인공지능을 하는 기업들의 상황과 사회적 영향력까지 봐야하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새로운 힘으로 이겨낼 밑받침을 만들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은 새롭게 맞는 봄입니다. 인공지능의 존재를 느끼던 봄과 이제 4계절을 거친 나는 분명 다를겁니다. 거친 인공지능이라는 말을 타고 놀라운 성과를 내야 하지 않을까요. 여기에 저자는 행복을 이야기합니다. 인공지능을 쓰면서 행복해지는 법에 익숙해지라는 거겠죠. 이제 인공지능은 나를 변화시키는 아텝터라고 하니다. 인공지능과 융합된 나를 어디에 연결해 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