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핀 이후 K-산업 2.0 - 제조·수출에서 K-지식서비스 경제로 포스트 수출 강국 신성장 해법 2
박광기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인 리뷰를 했습니다.



한국의 역량핵심은 제조 수출입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더우기 트럼프가 재집권을 하고 나서 그 기반이 송두리채 흔들리고 있습니다. 일자리, 국부창출, 경제성장 모두 임계점이라는 전망입니다. <킹핀 이후 K-산업2.0>은 피크코리아를 극복하고 팍스코리아나의 새시대를 열 비젼을 제시합니다. 






저자는 박광기 뉴패러다임미래연구소소장이십니다. 전 삼성전자 부사장을 지내셨고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 위원회, 국토교통부 장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이라고 하십니다. 



한국의 산업에 큰 위기가 왔습니다. 이제 정말 산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전환을 제시할 때입니다. 우선 산업정책관점에서 투트랙전략을 제시합니다. 첨단산업육성과 전통산업운용입니다. 쉽지 않은 길로 보입니다만 함께 살아가는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는 생각됩니다.  한계가 보인 산업은 정리하고 우리가 강점을 보인 산업을 중심으로 신산업을 하라고 합니다. 다양한 혁신모델도 살펴볼수가 있습니다. 한국의 큰 갈등요인인 양극화문제는 포용정책으로 풀어가라고 합니다. 이를 포용적 혁신이라고 합니다 




통상모델2.0은 상품수출보다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신남방정책의 중요성도 강합니다.  협업으로 한미원전산업동맹,한미 전통제조산업 재건 파트너십 등을 제시합니다. 그리고 산업2.0으로 제시하는 지식서비스 기반의 5대 선진형 산업플랫폼은 이것만 살펴보더라도 한국 산업의 현재와 방향을 알수가 있습니다. 지식산업, 금융산업, 첨단산업, 문화산업, 관광산업의 현재와 미래의 모습까지 살펴볼수도 있습니다. 첨단산업은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전기차 방산, 원전 등이죠. 지금은 이들 분야의 글로벌기업의 플랫폼에 들어가 소부장비업을 신경쓰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만의 특화산업으로 강추라는 겁니다. 



2025년부터 매우 큰 글로벌 파동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올초부터 시작한  미국의 관세협상은  국제적으로 눈치보기장세의 느낌이 강합니다.  그러면서도  국민들의 삶도 챙겨야 하는 상황이라 큰 위기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새로운 산업 제조 아젠다를 통해  이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하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