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사는 어떻게 사람에게 집중하는가 - 최고의 조직을 만드는 인적 자본 경영의 시작
오카다 코지 지음, 박재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6월
평점 :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인 리뷰를 했습니다.
회사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할까요.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람은 기업의 승리를 결정하고 기업이 '가치'를 제공해야하는 존재"라고 합니다. 이 말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한 말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사람이 중요하다는 것이죠. <회사는 어떻게 사람에게 집중하는가>는 어떻게 기업에서 최고의 인적자원을 길러낼까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합니다. 저자는 50개의 질문을 통해 사람,조직의 비전과 인사전략을 그려나갑니다. 결국 회사의 성공은 인적자원에 달려있기에 어떻게 인적자원에서 역량을 최대한 끌어낼까가 달려있기에 인적자원의 육성과 유지, 활약을 하게 하는 인사체제까지 다룹니다.

저자는 오카다 코지 루비어컨설팅 공동경영자십니다. 일본 고베대 경제학부졸업했고 일본 맥도날드 인사전략담당, 딜로이트 토마츠컨설팅 자회사에서 인사조직컨설팅으로 경력을 쌓았습니다. <최강조직을 만드는 인사변혁교과서>라는 책의 저자십니다.

인적 자본경영은 이성과 인정이라는 조직의 양쪽바퀴를 굴리는 거라합니다. 이를 가장 착각하게 하는 것이 사람을 소중히 하는 경영이라고 합니다. 인재를 자본으로 파악하면 소비되거나 비용으로 취급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본이니까. 투자계획서를 만들어야 합니다. 저자는 클라이언트 누적매출이 60조엔이라고 합니다. 대기업만 컨설팅한것이 아니라 중소기업도 많이 했다고 합니다. 물론 중소기업이라고 작은 곳만 있는 것은 아니죠. 왠지 대기업중심의 인재관이 느껴지는 것이 첫번째 질문부터 그렇습니다. "전략을 실현하려면 어떤 인재가 필요한가?" 작은 질문이 아니죠. 첫번째 질문으로 매우 큰 울림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답변을 위해 인재포트폴리오를 만들고 프로스포츠처럼 직원을 프로선수처럼 관리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질문마다 개요도해를 합니다. 우리가 사람을 쓴다는 것이 어떻게 디테일해질 수있는지 확실히 알게 해줍니다.
인적자원경영에서 '공시'는 우리에게는 매우 낯선 제도입니다. 일본의 경우 2023년3월기 결산부터 상장회사는 의무화가 되었다고 합니다. 한국도 2026년부터 ESG공시에 인적자본을 포함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공시는 가시화단계와 공시단계로 나눱니다. 여기에는 인재육성의 방침, 여성관리직비율, 남성의 육아휴직취득률, 남녀간임금격차 등을 담는 다고 합니다. 내용이 쉽지 않네요. ㅎㅎ 이를 의무화하는 것은 기업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겠죠. 기업도 사회의 일원이기 때문입니다. 보통 인적자본경영은 HR이라고 합니다. 지금과 인사과로 과명을 유지하는 곳이 많죠 이제 기업의 인재관리도 달라져야 한다는걸 이러한 강제조항으로 알수가 있습니다. 강제 공시조항을 보니 ESG경영이고 이를 통해 기업신뢰를 높일수있는 제도인건 확실해 보입니다.

글로벌로 기업환경이 매우 힘들죠. 중국으로 수출도 쉽지 않고 미국도 관세장벽을 만들고 이럴때 기댈수있는 핵심자원은 분명 인적자본임은 확실해 보입니다. 인재가 기업을 지키고 결국 기업은 기속가능성이 높아져서 기업성장도 이룰수가 있어보입니다. HR이라는 파트가 이렇게 광대한 분야인지 처음알았고 깊이 들아가면 끝도 없이 일이 많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물론 한국에 맞게 변형을 해야 할 부분은 있겠지만 인재가 소중한 현상황에서 기업들이 꼭 알아야 할 부분이었습니다. 최고의 조직이 있다면 그 뒤에 인적자원경영이 있다는 걸 알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