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아서 잘하라고 하지 않고 명확하게 일 맡기는 기술 - 리더의 말이 달라지면 회사는 성장하기 시작한다
고구레 다이치 지음, 명다인 옮김 / 갈매나무 / 2025년 6월
평점 :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인 리뷰를 했습니다.
취업을 해서 일을 하다보면 직급이 올라서 부하직원이 생기게 됩니다. 직원일때는 자신이 맡은 일의 성과만 내면 되는데 승진을 해서 리더가 되면 팀원들의 성과도 챙겨야 합니다. <알아서 잘하라고 하지 않고 명확하게 일 맡기는 기술>은 리더와 팀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명확한 언어로 전달하는 지시법, 질문법, 전달법 등을 배웁니다. 리더는 지시도 명확하게 하고 팀원의 생각도 명확하게 해야 진정한 리더라는 겁니다.

저자는 고구레 다이치 교육커뮤니케이션협회 대표십니다. 언어화 컨설턴트시고요 일본의 명문 게이오대 경제학부를 졸업한 후 후지필름, 리쿠르트 등에서 경력을 쌓았고 <횡설수설하지 않고 정확하게 설명한는 법> 등을 저술했습니다.
저자가 언어화를 주장하는 이유는 팀원들을 일시키기위해서입니다. 이는 경영자는 비전을 언어화하고 리더는 팀원의 행동을 언어화하고 팀원은 일상의 소통을 언어화하라는 겁니다. 언어화는 명확화라고 합니다. 저자의 언어를 통해 회사에서 어떤 소통이 이루어져야 성과를 낼 수있는지 생각할 수있습니다. 리더는 팀원을 볼때 항상 어떻게 하면 팀원이 성과를 낼까를 고민하고 행동해야 합니다. 이런 역할을 주어지기에 리더는 책임지는 자리가 아니라 팀원을 행동하게 하는 자리라고 합니다. 독특하죠. 사고의 전환을 느낍니다.

언어화를 할때 사고의 틀이 있으면 휠씬 언어화의 효과가 커진다고 합니다. 특히 중간단계를 언어화해야 한다고 합니다. 리더는 팀원에게 지시를 하죠. 지시를 할때 모호한 지시, 불필요한 지시, 등을 명확하게 바꿔야 합니다. 그리고 잘못한 일에 대해서는 확실히 궤도수정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목표는 기대치를 명확히 하는거죠. 그리고 질문의 언어화입니다.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 이는 팀원의 생각을 언어화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질문법이 제대로 되면 말하기 어려운 것도 말할 수있게 된다는 거죠. 그리고 전달시에는 파악하고 수긍하고 재현할 수있어야 함을 명확히 합니다.

사실 성과가 좋은 직원을 주로 팀장으로 올리죠. 그것은 성과에 대한 상으로 주는 성격이 강하죠. 하지만 팀장이 되고 팀관리에서 헛점을 보이는 경우가 너무도 많습니다. 업무에서 성과를 내는 것과 팀전체를 성과를 내게 하는건 다른 차원의 이야기이기때문입니다. 그런데 저자가 제시하는 언어화 리더십을 볼때 리더에 대한 성격과 해야하는 일의 차별화가 확실히 다르다는걸 느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