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트랜스포메이션 - 인공지능 도입을 위한 단계별 실전 가이드
케이트리 지음 / 제이펍 / 2025년 3월
평점 :
본 도서는 리뷰어스클럽으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인 리뷰를 했습니다.
인공지능이 비즈니스의 대세로 떠오랐습니다. 아직도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제대로 시현못한 기업도 많지만 다시 AI트랜스포메이션을 해야 하는 시점이 되었습니다. 사실 한번 뒷처지게 되면 자꾸 밀려서 기업은 파산으로 갈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임을 기업가들이 명심해야 합니다. 더우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윗단계이기에 효과에서는 더 효율적일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기술도입이 아니라 조직전반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AI트랜스포메이션>은 일부소위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우리 주변에 와있는 현재 가장 핫한 기술이라고 합니다. AI적용전략을 설명하면서 기술적 구현과 코드, GPT,생성형AI 등은 다루지 않아서 휠씬 편하게 AI 기업도입전략을 익힐 수있게 했습니다.

저자는 케이트리 AI엔지니어십니다. AI기술을 비즈니스에 적용하는 업무를 오랜동안 해오셨습니다. 추천시스템 구축, LLM모델개발, 도메인특화파인튜닝, 등 백엔드개발 경험도 있는 최고의 전문가십니다.
얼마전까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 대세였죠. 이는 IT기술을 기업에 적용하는 것이라면 AI트랜스포메이션은 AI기술에 초점이 가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이를 조직에 잘 안착시켜 기업의 매출에 연결시킬려면 전략을 잘짜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근본적으로는 경쟁기업보다 앞서기위한 조치입니다. 저자가 전략이 중요하다고 했는데, 어떤 전략을 해야하느냐가 문제일겁니다. 그래서 전략은 실현가능하고 차별화되고 일관성있고 집중적이라는 특징을 가져야 한다고 합니다. 기술적으로 보면 AI는 패턴을 감지하는기술이라고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가 필요하여 패턴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혁신은 틀을벗어나게, 최적화를 하고 비즈니스기회를 잡는 것이라고 합니다. AI기술을 도입하더라도 결국 새로운 혁신을 위한 도입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외에도 AI혁신의 한계도 정리합니다. 가능성만큼 한계를 명확히 하는 것도 중요하죠.

전략을 세울때 꼭 고려해야 할 요소로 리더가 AI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고 조직간 협업문제도 핵심고려사항이며 문화와 조직수용성도 잘따져봐야 합니다. 리더가 관심이 적거나 조직간의 업무갈등이 생긴다던지, 문화에 너무 이질적이라면 AI도입은 성공과 당연히 거리가 멀어집니다 . 좀더 구체적으로 AI도입의 방법으로 STEP전략을 제시합니다. 처음은 전략수립(S)이고 시도와 실험(T) 그리고 전문적지식(E), 지속적인 혁신(P)인 거버넌스단계를 제시하는데 이런 전략을 추진함에 있어 신중 또한 신중을 강조하고 이를 순환으로 돌리면 처음에 보이지 않던 문제점과 개선점이 보인다고 합니다. 기술도 중요하지만 도입부분은 전략상 가져야 할 단계마다의 문제점과 대응을 항상 감안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사실 전략을 수행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들수밖에 없습니다. 단게를 좀더 세분화해서 최선의 기술을 도입해서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국율일지도 모릅니다.

요즘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인간들의 불안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AI는 분명 현재는 지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한동안도 그 영역을 벋어나지는 못할겁니다. 좀더 발전한 상황이 자율판단이 되는 것이겠죠. 현재도 자율판단으로 인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고 앞으로 AI가 인간을 보조만 할꺼냐. 그건 아니죠. 벌써 애니메이터의 종국을 보는 듯한 모습이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벌써 많은 그래픽디자이너들이 실직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감정적인 부분이나 책임영역, 도덕적 판단도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보았습니다. 물론 정말 AI가 이부분도 뛰어넘지 않을까라는 의구심은 드는것은 현재 너무 빠르게 AI가 발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아직 기업들은 AI트랜스포메이션을 해야 할때라는 점입니다. 시간이 없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