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생도 이해하는 인공지능 101 101가지 시리즈
서지영 지음, 유연 일러스트 / 동녘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공지능이 이제 드디어 본괘도 올라간 느낌입니다. LLM과 생성형AI가 큰 영향을 키쳤습니다.   그덕에 인공지능을 배우고자하는 지망자가 많이 늘었죠. 하지만 인공지능에는 분명 장벽이 있을 겁니다.  컴퓨터프로그램언어를 알아야 하는 장벽이죠. 이러니 전공자도 아닌 더우기 문과생들이 다가가기에는 거리감이 크죠. <문과생도 이해하는 인공지능 101>은  가장 먼저 마주치는 인공지능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용어부터 간단하게라도 익힐수있다면  문과생으로서 주니어개발자라도 할 수있는 토대가 될 것이 확실합니다. 



저자 서지영은 정보관리기술사와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시고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매니저시네요.  한화시스템, 한국은행, 휴렛팩커드 등을 거치셨습니다. 학력은 고려대 빅데이터융합학과석사시네요.  책도 많이 내셨습니다. <딥러닝 파이토치 교과서>,<챗GPT거부할 수없는 미래>,<모두의 네트워크 기초> 등 업무뿐 아니라 자기관리도 열심히 하신 전문가십니다. 




인공지능이라고 해서 관련 용어를 쭉나열한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일반,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언어처리, 컴퓨터비전, 생성형AI에 관련된 101개의 용어를 그림과 함께 설명하고 인공지능 활용편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중심으로 54개를 소개합니다. 인공지능의 내부와 활용을 통해 인공지능에 관한 낯섬을 줄이고 관심을 키울수있게 구성했습니다. 알아야 면장이라는 속담이 있죠. 기초를 알면 다음단계로 가는 단계에 올라서게 될겁니다. 


아무래도 인공지능이 무엇인지 부터 설명을 해야 겠죠.  AI는 인간의 고유능력이고 하는 사고능력, 학습능력, 추론능력을 컴퓨터가 수행할 수있도록 하는 기술'(001)에 정의를 합니다.  이런 목적을 가지고 있기에 챗GPT대한 활용을 하게 되고 아직은 불완전하지만 앞으로는 인간을 넘어설거라는 확신이 들게 하죠.  019 크롤링도 처음들으면 매우 익숙하지 않죠. 웹사이트를 돌아다니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때 쓰는 용어죠. 데이터수집형식도 보여줍니다. 옆페이지에는 도표로도 더욱 쉽게 이해하게 해줍니다.  인공지능을 배우면 흔하게 사용하는 과적합도 중요하죠. 이러한 복잡도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죠. 043코랩은 사실 일반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유일한 운영도구죠. 개인적으로 GPU를 사용하기 힘들기에 꼭 사용해야 하는 온라인컴퓨팅환경입니다.  화용분석(050)은 인공지능은 조금공부한 저도 낯서네요. 문장의 연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이고 챗GPT에 기본작동방법이겠죠. 




생성형AI편에  오픈AI의 달리(98)를 소개합니다. 이미지생성형AI로 미느저니 등과 경쟁관계가 있는데 다만 유료입니다. 뤼튼을 이용하면 무료도 가능합니다. 랭크인(101)은 앱생성을 위한 프레임워크라고 합니다.  초보자도 쉽게 언어모델을 이용한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하는데 저도 직접이용해보지는 못한점이 아쉽네요.  인공지능활용은 직접적인 제품과 서비스소개입니다. 서빙로봇(005), 인공지능번역(006) 둘다 인력을 줄이는 데 요즘 공헌을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팝(024)는 농업방식의 대변환을 추진하고 있는 것인데  10억원시설로 높은 수익을 올리는 경우도 유튜브에서 봤습니다. 관심을 가질 만합니다. 



오래전부터 컴퓨터계열은 문과생도 노동부연계 6개월과정 수업을 받고  취업을 잘해왔습니다.  과거에는 자바, 자바스크립트를 교육해서 취업을 했지만 지금은 인공지능관련 연계교육이 많은 것으로 압니다. 문과생들도 시대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공부가 필수이고 앞으로는 개발자보다 인공지능어플리게이션의 활용이 더 중요해지기때문에 관련제품에 대한 이해가 필수입니다. 문과생이라고 인공지능에 대해 모르면 안되는 시대입니다. 생존합시다. 




이 포스팅은 컬처블룸을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