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스완에 대비하라]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블랙스완에 대비하라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지음, 김현구 옮김, 남상구 감수 / 동녘사이언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과거의 경험으로 예측가능한 미래는 없다. 최악의 사태에 대비하라

호주에서의 ‘블랙스완’의 발견은 이후 ‘블랙스완’은 진귀한 것, 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것이나, 불가능하다고 인식된 상황이 실제 발생하는 것을 가리키는 표현이 됐다. 

이 책에서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가 말하는 ‘블랙스완’은 여기서 더 나아가 첫째로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사건이다. 둘째 대단한 파급력을 갖는 사건이며, 세번째로 거의 모두 예상하지 못했지만 발생하고 난 뒤에는 불가피한 것이라고 인정하게 되는 사건이다. (그런데 어떻게 탈레브는 예측하고 있는 것일까) 

그는 2008년 기존 경제계가 무너졌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운전대를 맡긴다며 신랄하게 조롱한다. 게다가 2008년 금융 위기조차 검은 백조가 아닌 단순한 위기고 지금 당장 노벨경제학상 폐지하고 이 지경에 빠뜨린 은행들에게 보너스를 환수하고 부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불어 그는 블랙스완이 올 것을 대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지침을 담았다. 복잡한 금융상품은 금하고, 더 이상 학자나 전문가(특히 한 우물파는 전문가를 경계)에 귀에 더 이상 귀 기울이지 말기 등. 또한 낙관을 경계하고 부정적 조언에 주목하고 이기기보다 실수를 피하라고 조언하며, 개인의 경우 바벨전략 90% 안전자산, 10% 완전 위험한 상품 투자하라고 한다. 


그는 이 책이 경험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예측 불가능한 일들을 대비하기 위해 지식의 허약성, 한계를 설정하는 시도라 한다. 이를 통해 블랙스완에 강인한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 그의 바람이라고.  

탈레브는 검은 백조에 강한 사회를 위해 몇 가지 원칙을 내놓는다. 우선 허약한 것은 규모가 작을 때 일찍 붕괴시켜야 한다는 것. 경제는 숨겨진 위험을 더 커지게 하는 경향이 있어서 손실의 사회화나 이익의 사유화는 결코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 말에 나는 일부 공감한다. 다만, 공적사업부분에까지 그래야 하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도입부분 그의 한국 강연이나 질의응답에 대한 기자들의 기사로 시작한다. 알고보니 이 책은 전작 <블랙 스완> 이후 학계와 경제계의 반응, 변화된 환경에서 자신이 겪은 경험 등을 채웠다. 한국기자들이 쓴 짧은 글을 통해 그를 이해할 수 있다는 건 행운이었다. 이후 그의 글에비하면. 그의 글들은 읽으면서 이게 경제학 책인지 철학책인지 무척 헷갈릴 정도로 철학, 인지심리학 이야기를 많이 담았다. 그토록 어렵다는 이야기다. 게다가 특정 인물과 이론에 대한 반박과 비난은 그의 이러한 이론에 대한 자부심을 넘어 오만함을 느끼게까지 한다.(그의 특정인물에 대한 비판의 이유를 충분히 이해할 수 없는 배경지식의 한계때문일런지도 모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장 대자연에서 배우기’는 참으로 흥미롭다. 인간보다 생물학자들보다 똑똑한 대자연은 과도한 전문화를 좋아하지 않아 보험으로 중복을 겸비하거나 큰 것보다 작은 것을 좋아한다는 생태학적 해석은 인간이 그간 효율성이라는 이름으로 빚은 전문화나 중복성을 제거한 행동들에 대한 경계심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이 복잡한 책을 읽어야 하는 건지 의문이다. 탈레브가 말한 바와 같이 '복잡성'을 겸비한 건 금융상품도 책도 가져야 할 미덕은 아니라고 본다.  


책을 읽고, 탈레브가 제시한 바벨전략을 전적으로 수용하지 않았지만 일부 포트폴리오에 반영해 두었다. 최악의 사태를 대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고나 할까. 차의 안전벨트인셈. 보험까지 들기는  내게 다소 무리한 요구다. 난 위험을 좀 과소평가한 셈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