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체 게바라 평전 ㅣ 역사 인물 찾기 10
장 코르미에 지음, 김미선 옮김 / 실천문학사 / 2005년 5월
평점 :
체 게바라. 세계의 젊은 지성들로부터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는 혁명가. 과연 무엇이 그를 그토록 영웅으로 여기게 만들고 있나?
그는 아르헨티나의 중산층 가정에서 자유분방하게 독서하고 사고할 수 있는 환경에서 자라났다. 의사가 되었다. 젊은 나이에 남미 일대를 여행하며 민중들의 피폐한 삶을 보았다. 봉건 잔재가 신대륙을 침탈한 제국주의 그늘에서 철저하게 빼앗기고, 최소한의 인권마저 보장받지 못하는 아픔을 보았다.
그는 의사로서의 안정된 삶을 포기하는 대신 혁명을 꿈꾼다. 인본을 바탕으로 하는 사회민주주의. 그 꿈이 ‘실현 불가능한 유토피아’일지 모른다는 반복된 회의에서도 그는 포기하지 않는다.
숙명적인 카스트로와의 만남으로 쿠바 민중을 불평등한 지배구조로부터 구해낸다. 잠시 쿠바에서 중앙은행 총재, 산업부장관 등 정부요직을 거치지만 쿠바인이 아님으로써 겪어야 하는 정치적 난관을 만난다. 공은 사라지고 과는 크게 남는 법이다. 그는 쿠바를 떠난다.
전 세계 억압받는 민중해방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또 다른 혁명을 시도한다. 그러나 성공하지 못한다.
그가 쿠바이외의 나라에서 혁명적 성공을 더 거두었다고 할지라도 그 나라들이 경제적으로 풍요를 이루었을는지는 의문이 남는다. 그가 존경하였던 마오쩌둥의 시대가 그렇고 그가 혁명적 성공을 선사하였던 카스트로의 쿠바도 그렇다. 모두 개방과 개혁에 지혜롭게 대처하지 못했다는 평가에는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 다수 자본을 소유한 보수적 지도자들은 그를 매도한다. 자유경제를 억압하는 공산주의자, 무자비한 무장 게릴라, 정부질서를 파괴하는 테러리스트. 과연 그가 많이 가진 소수의 부를 빼앗아 다수에게 나누어 주는 분배논리, 단지 그것만이 평화로운 세상을 가져올 유일한 수단이라는 미망에 사로잡힌 사람에 불과하였을까?
그러나 모두 틀린 주장임을 역사는 안다. 그가 죽음조차 두려워하지 않고 주장하였던 것이 과연 무엇이었는지를. 이 시대의 젊은 지성들은 그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별이 그려진 베레모와 장발, 다듬지 않은 수염. 붉은 배경의 모노크롬은 마치 눈밭에 나타난 예수의 형상처럼 열광을 넘은 존경마저 불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책장에서 다시 꺼내 읽고 보니 처음 보았던 그 때와 사뭇 다르다. 마치 다큐멘터리가 인간냄새 진하게 나는 영화로 다시 개봉된 느낌이다. 그 절절한 상황이 구체적으로 머릿속에 그려지니 코끝이 시큰해지기까지 한다. 15년이라는 세월에 나의 사고력과 감성이 달라진 탓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