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활용 백과사전 - ChatGPT, 코파일럿, 제미나이, 클로드, DALL-E 3, 딥엘, 미드저니, 스테이블 디퓨전, Suno AI, 소라 등 주요 생성형 AI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100가지 활용법!
타구치 카즈히로 외 지음, 서수환 옮김 / 길벗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세 분의 저자가 모두 일본 분이신데 그래서 읽어보고 싶던 책이다. 책은 챕터가 10가지다. 9까지 있지만 0에서부터 시작되어서 프롤로그를 대신해 준다. 챕터 0은 생성형 AI의 의미와 등장한 이론을 알려준다. 그리고 종류와 책에서 보여줄 생성형 AI를 설명한다.


책 이름이 백과사전이라서 두껍고 자세한 내용을 알려주는 내용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렇지는 않고 정확한 이론적 내용으로 채워졌기 때문에 기본적인 개념을 알게 한다. 계정 만드는 순서나 방법을 소개한다. 'HINT' 궁금한 점에 답을 주는 설명으로 보충하는 설명을 추가한 것이다. 생성형 AI의 종류를 차례로 하나씩 알려주는데 책에서 많이 강조하고 잊을 만하면 쓰여 있는 것이 AI의 불안정성이다. AI는 진실이 아닌 것도 진실처럼 이야기하고 유해한 정보로 안내할 수도 있다. 그래서 AI를 과도하게 의지하고 업무나 심지어 삶의 이런저런 상담까지 하다 보면 현실과 맞지 않은 해답에 빠진다. 대부분의 책에서 항상 이런 점을 강조하는 이유를 잊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책에 보면 진정성을 담은 사과문을 AI에게 대신 써달라고 하는 기능과 아이디어 내기 등 스스로 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편리함을 준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진정성을 담은 사과인지는 스스로 판단하여야 한다. AI만 믿다가 잘못 사용되면 고스란히 사용한 사람이 대가를 치르게 된다. AI를 중요한데 사용해서 망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책은 생성형 AI가 주목받은 이유와 프롬프트의 기본과 방법을 설정하고 실용성 위주로 백과사전처럼 만들었다. 백지상태에서 자료 작성, 백지상태에서 초안 작성같이 주로 백지상태인 사람들에게는 AI가 좋은 기능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중요한 자료는 맞는지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우면 전문가의 검토가 실질적으로 필요하다고 책에서 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