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는 만큼 보이는 생성형 AI - 챗GPT, 제미나이, 클로드, 클로바X, 달리, 미드저니, 스테이블 디퓨전, 수노, 유디오까지 한 권으로 보는 생성형 AI 기술과 트렌드 ㅣ 아는 만큼 보이는 시리즈 (길벗)
김주영 지음 / 길벗 / 2025년 7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챗GPT, 제미나이, 클로드, 클로바X, 달리
미드저니, 스테이블 디퓨전, 수노, 유디오까지
한 권으로 보는 생성형 AI 기술과 트렌드
연세대 전기전자공학을 전공하고 같은 학교에서 기계지능연구소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글쓴이는 최신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연구와 개발에 관심으로 본 책을 집필했다. 전문가인 글쓴이가 알려주는 생성형 AI는 정의와 미래까지 한눈에 볼 수 있다는 기대를 주었다.
생성형 AI는 매우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학습한다고 한다. 그래서 종류를 나누어 볼 수 있고, 용어까지 정리해 준다. AI는 글도 쓰고, 그림도 그리고, 음악도 만드는데 인간은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글쓴이가 설명한다. 인간이 하는 일을 완전히 대체 할 것 같은데 AI는 도와줄 수는 있으나 창의적이고 복잡한 작업은 여전히 인간이 해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니까 글쓰기, 그림, 음악 모두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AI를 사용하는 인간의 능력 수준에 의해 극명하게 갈리게 되는 것이다. 특히 글, 그림, 음악에 해당하는 예술적인 분야는 처음 사용하는 사람은 복잡하지 않게 만들어 내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중요한 작업을 해야 하는데 AI로 창의성이 필요한 작업을 하게 되면 오히려 시간을 소비하고, 사용자의 상황에 맞지 않은 결과물을 내기도 하는 게 생성형 AI 기술이다. '창의적'인 일에는 오히려 AI의 학습 능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능력이 훨씬 중요하다는 의견은 앞으로 더 많이 등장할 것이다.
글쓴이는 '생성형 AI를 바라보는 자세'라는 부분으로 AI의 구성과 작동에 대한 이해를 알려준다. 또한 완벽하지 않은 한계점도 여러 부분에서 설명해서 실제 사실인 것처럼 말하는 잘못된 정보의 생성을 소개한다. 또한 편향된 답변도 문제점으로 보고 있다. 안정성과 윤리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온 문제점으로 생각된다.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는 AI의 한계점도 있어서 나름의 대처하는 방법도 설명한다. 또한 일관성 부족 문제도 설명해서 대처하는 방안을 어느 정도 알게 한다. 그리고 대표적인 생성형 AI 서비스도 유형별로 소개한다. 앞으로 AI는 직업 환경의 변화를 가속화할 것이다. 하지만 모두 없어지고 쉽게 바뀌기는 어려운게 '실제 직업 세계'라고 말한다. 특히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AI의 제안을 출발로 볼 수 있으나 인간의 지식과 판단에 따라 결정해야 하고 모든 문제 해결을 AI에 의존하지 말라는 명언 같은 중요한 말도 잊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