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히는 글쓰기 끌리는 말하기 - 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글쓰기와 말하기
김대근 지음 / 보아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글쓰기와 말하기'를 알려주는 책이다. 글쓴이는 YTN 방송기자이고 앵커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얼마나 실제 쓰일 수 있는 비결을 가진 전문가라는 것을 이미 파악할 수 있다. 글이 경쟁력인 시대라고들 말하고, 지금은 많은 정보가 난무하는데도 발전하는 사람이 예전보다 더 많아지지 않은 이유를 생각하게 해준다.



글쓴이는 '흥미로운 스토리'에 관해 중요성을 설명한다. 소설은 소설다워야 한다. 소설로 영화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스토리와 실감 나는 등장인물은 너무나도 재미있는 요소이다. 그런데 소위 딱딱한 글쓰기는 소설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비평가와 소설가는 너무도 다른 영역이다. 그런 딱딱한 글쓰기를 연습하는 사람은 소설이나 문학적 글과는 점점 멀어진다. 글로 먹고살고자 한다면 자신이 글이 재능은 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 카톡으로 대화하며, SNS로 글을 매일 쓰다시피 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런 상당한 양에 비해 현대에 왜 글이 눈부시게 변모할 수 없는지 책을 보니 이해되는 부분이 많다. 글감의 소재 찾기, 문단에서 알아두어야 할 역할, 주제, 구상과 같은 정확한 이론들은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특히 눈이 간 부분은 '사람들이 내 글을 읽어야 하는 이유'다. 모든 정보가 만연한 때라서 그런지 눈 돌리면 글이 모든 경쟁에 우위를 점한다고 말하는데 예나 지금이나 읽을 필요도 없는 글이 너무 많다. 지금은 옛날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은은 것 같다. 아무나 웹소설, 웹으로 글 쓰는 시대에 정말 읽어야 할 글은 무엇일지 오히려 깨닫게 되고 무조건 기록한다고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 글쓴이가 말하는 '정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