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그림으로 시작하는 하루 논어 - 세상의 기준에 좌절하지 않는 어른의 생활법
양승렬 지음 / 한빛비즈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SNS에서 보이는 화려함은 거품이 많습니다.

현실에서는 고민, 걱정, 후회가 많지만,

SNS에는 보정된 웃음만 드러냅니다.

남들보다 더 멋지고 행복해 보이기 위해 현실과 다르게 꾸며진 나를 등장시키기도 합니다.

그래야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기 때문입니다.

온라인 세상은 사람들의 공감 혹은 개인의 이익을 얻으려는 원초적인 자극과 조작이 넘쳐납니다.

가식적인 행위와 그로 인한 인맥이 과연 얼마나 가치가 있을까요?


_78쪽



논어가 삶의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지금의 시대에도 적용되는 삶의 방법을 정확하게 안내하는 공자의 말은 글쓴이가 말하는 '원조 자기계발서' 답게 '세상의 기준에 좌절하지 않는 어른의 생활법'이라는 내용을 들려준다. 책은 1, 2부로 크게 나눠서 그림으로 우선 소재, 화가로 분류하고 논어와 함께 설명해 나간다. 가정, 사회, 직장, 경영, 리더까지 어느 자리에 있던지 한 사람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절대 진리를 설명하기 때문에 문제에 부딪힌 누군가에게는 실마리를 주고 있다.





제목과 함께 그림을 크게 싣고, 논어를 설명하고 후반에 그림에 관해 말한다. 조선의 그림과 논어를 어떻게 접목했을까가 특히 궁금했는데, 제목에 관한 내용을 논어의 구절로 보여주고, 그림에서 그 내용의 관련된 부분을 연관 지어 보여 준다. 그림을 완전히 미술사적으로 바라보기보다는 약간의 그림 소개와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섞여 있다.





 


3장 내외로 하나의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어디를 먼저 펼쳐봐도 좋다. 빠른 세상의 변화에서 인간의 삶의 모습도 생각의 여지 없이 흘러가게도 만든다. 편리한 생활 뒤에 암울한 결과와 부작용은 눈과 귀를 막아 시간을 허비하게 한다. 그래서 곧은 삶을 논어에서 여러 측면으로 중요하게 본다. 가난도 '반드시 정당하게' 벗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왜 꼭 정당하게 벗어나야만 하는지도 알려주며 진정으로 안다는 것이 무엇인지도 깨우쳐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