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로 보고 그림으로 듣는 음악인류학 - 불교와 세계종교
윤소희 지음 / 민족사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와 종교음악'이라는 칼럼을 글쓴이가 연재했고 다 하지 못한 내용과 사진을 채워 자세하게 만든 책이다. 특히 한양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음악인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글쓴이는 종교와 불교, 음악과 문화에 관한 다수의 저서가 있는 만큼 그에 걸맞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심도 있게 바라본 음악인류학을 다룬다. 크게 2가지로 주제가 있는데 인도, 중국, 한국을 포섭한 음악과 이슬람, 기독교, 불교를 통섭한 음악 이야기로 나누어 그 속에서 찾아보는 깊이 있는 '소리로 보고 그림으로 듣는' 음악인류학을 탐험하게 한다.





제사에 쓰였던 정도전이 지은 곡들은 용비어천가에 활용되었고 성종 때는 악공들의 시험 곡이 될 정도여서 음악이 곧 국가였다고도 한다. 이 중 사진, 악보로 확인시켜 주며 역사 속에서 마주친 의미와 어떤 흐름으로 이어졌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한국 탈춤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이다. 그 원류와 산대탈춤의 전신인 시도 보여준다. 이런 춤과 놀이는 중앙아시아, 인도로 이어지는 불교문화 루트와 연결된다고 한다. 또 심벌즈는 한국에 고려조에 들어왔다. 서양악기지만 역사를 거스르면 인도와 아라비아에서 발원한 것이고 서역을 지나 한국에 온 것이다. 일본 불교음악의 축과 거문고 이야기도 자세하게 다룬다. 소리, 악기, 춤, 문학, 문화와 역사를 총망라하며 긴 세월 뿌리를 지탱하는 종교음악의 세계를 바라보면서 끝없는 교류와 염원의 여정을 발견하게 해준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