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공지능을 이기는 영어 - 토익 300점대도 베테랑 영문기자로 만든
박시수 지음 / 유아이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인공지능을 이기는 영어
유튜브 온갖영어문제연구소를 운영하는 코리아타임스의 박시수기자가 썼다.
그는 경영학을 전공하고 카투사에 가려고 처음 본 토익시험에서 300점을
받아 카투사를 포기하고 육군으로 입대했다. 전역 후 영어실력이 형편없었으나 3년후 영문기자가 되었다.
그 3년동안 영문기자가 되겠다는 영어학습목표를 세우고 하루 10시간씩 영어 뉴스만을 이용해 영어공부를 했고 영어소설이나 미드는 보지 않았다고 한다.
물론 입사시 전체적인 영어실력이 월등한 해외파 동기들이 있었지만, 저자는
오직 영어기사만을 읽고 쓰고 외우면 영어를 배워 최소한 기사 쓰기에 있어서는 대응한 실력을 가질 수 있었다고 한다.
일단 영어공부하는 목표를 세워야 한다.
웬만한 수준의 영어 실력만이 주는 기회는 구글번역 등에 의해 점점 줄어들고 있어 자신만의 전문지식과 정보, 통찰력이라는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 영어가 필요하다.
단순히 유창한 영어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콘텐츠를 전달하는 영어는 원어민 영어와 링구아 프랑카적 영어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할까?
원어민 영어는 전세계 인구의 4.7%인 약 3억6천만명이 쓰는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들이 쓰는 영어이고,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e) 영어는 약 15억명이 쓰는 영어를 외국어로 쓰는 사람들이 쓰는 영어이다.
링구아 프랑카적 영어는 매우 교과서적이고 표준적인 영어로 미드에서 가끔 쓰이는 속어/구어나 원어민들만의 표현과 거리가 있다.
저자는 원어민 표현은 영어공부의 맨 마지막 단계로 일단 링구아 프랑카적 영어 즉, 표준적인 영어를 바르게 구사하고 공부할 것을 추천한다.
물론 미드만으로만 공부해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도 있지만, 일단
자신의 콘텐츠를 표현하고 업무나 일상생활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영어를 먼저 공부하라 한다.
학생이 아닌 직장인이라면 ‘송충이는 솔잎을 먹어야 산다.’라는 말처럼 지금까지의 일을 버리고 다른 업종으로 전직할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영어와 같은 국제적량을 갖춘 글로벌 송충이라면 한국 솔잎뿐만 아니라 수입산 솔잎도 먹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일단 미드나 원어민 표현를 공부하기 앞서 저자가 추천하는 사이트를 통해 시사성과 업무와 연관된 영어기사를 가지고
시작해봐야겠다.
글로벌 송충이가 되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