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의 심연 - 뇌과학자, 자신의 머릿속 사이코패스를 발견하다
제임스 팰런 지음, 김미선 옮김 / 더퀘스트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뇌과학자가 우연히 자신이 사이코패스임을 알고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흉악범죄를 일으킨 사이코패스 범죄자가 되지 않았는지 추적하는 내용이 들어있다. 과학서적치고는 과학자의 소소한 개인사가 상당히 많이 들어가 과학에 문외한인 사람으로서도 꽤 쉽게 읽혔다.

그리고 가끔씩 자서전에서 종종 보이곤 하는 작가가 지면에서 직접 한 말과 책의 주제가 반목하는 모습을 보고 흥미로워 했다. 덕분에 꾸며낸 이야기가 아닌 진짜 자신의 이야기임을 실감했다. 책 중반부에서 저자는 '복지'라는 것을 좋지 않은 것으로 본다고 썼는데 책 마지막 부분에서는 결국 모든 아이들에게 복지 혜택을 줘야 사회가 평안하리라는 결론이 나고 만다. 자신이 사이코패스 뇌의 소유자인데도 범죄자가 되지 않고 산 것은 부모님 덕분이라고 말하는데 모든 아이가 그렇게 좋은 부모를 둘 수는 없으니 부모 대신 사회가 어느 정도 그 역할을 대신 해줘야 하지 않나. 또한 글쓴이는 부모님에 대해서만 감사한다고 결론 부분에 적었는데 내가 보기에는 그의 배우자도 그가 범죄자가 되지 않은 데에 아주 큰 역할을 했다. 비록 감옥에 갈만한 범죄는 저지르지 않았다 해도 일반 상식이나 도덕으로 봤을 땐 상궤를 벗어난 일을 툭하면 저질렀는데도 다 참아주고 여태 같이 살아준 아내분은 정말이지 천사처럼 보였다. 우리나라의 유명한 모 연쇄 살인마의 경우 (필시 그의 바람기나 폭력, 불성실함을 참아주지 못했을)아내에게 이혼을 당하고 나서 여자 전체에게 원한을 품고 마구 죽였는데 글쓴이 또한 배우자에게 버림받았다면 어떻게 변했을지 모를 일이다. 그런 점에선 미연에 흉악범죄를 방지했다는 점에서 그 배우자는 표창장을 받아 마땅하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