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이 시대의 전 세계적 위기 상황에 대한 교회의 해답이 한마디로 ‘하나님 나라‘라고 믿는다. 교회의 메시지와 사명은 하나님이 왕이시고, 하나님이 예수를 만왕의 왕과 만주의 주로 임명하셨으며, 교회의 소명은 하나님 나라 건설에 기여하는(for) 것이라고정리할 수 있다. "우리의 작업가설은 하나님 나라가 이 세상에 속한(from) 것은 아니지만, 단연코 이 세상을 위한(for) 나라라는 것이다. 교회가 받은 하나님 나라의 소명은 교회가 세상을 향해 말하는 내용만이 아니라 세상 안에서 세상을 위해 행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 P36
하나님 나라의 핵심은 이스라엘의 언약 역사를 통해 이루어진 창조세계 전체에 대한 하나님의 구원과 회복이고, 예수의 인격과 사역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일하심이다. 다시 말해, 하나님 나라는 시대를 초월한 추상적 이상이나 시공간의 해체가 아니다. 오히려 하나님 나라는 "언약의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역사 안에서 일하셔서 이스라엘의 운명을 회복하시고, 쓰라린 유배의시기를 끝내시고, 온 세상을 지배했던 악을 이스라엘을 통해 물리치시는 것"을 가리킨다." - P37
초대 교회가 볼 때하나님 나라의 핵심은 결코 천국에 가는 것이 아니었다.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이 예수 안에서 배아의 형태로 이루신 일과, 하나님의 영이 그분의 백성 가운데서 주도적으로 행하시는 역사와, 때가 차면 하나님이 이루실 일을 한마디로 요약한 말이었다. 이처럼 이미 선취되었고 지금 진전되고 있지만 여전히 소망의 대상이라는 의미로 하나님 나라를 이해하면, 초대 교회는 ‘하나님 나라‘ 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나님 나라는 지상의 제국이나 일시적인 영적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삶의 모든 측면에 하나님의 왕권이 임하게 하려는 신실한 행동을 위한 비전과 소명이다. - P38
따라서 예수께서는 갈릴리의 반란이 실패하고 십자가 처형과 같은 로마 제국의 폭력의 흔적과 충격적인 기억이 도처에 남아 있는 곳에서 성장하신 셈이었다. 로마 군대는 그 지역을 휩쓸며 유혈사태와 파괴, 살인, 강간, 약탈을 일삼았고, 사람들을 노예로 삼았다. 예수께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는 사역을 시작하셨다. - P54
바울이 네로를 몰아내고 기독교를 합법화하거나 심지어 제국 내에서 특권적 지위를 가진 종교로 만드는 데 가장 적합한 원로원 의원을 대신 세우려는 궁정 쿠데타를 계획했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지상의 권위에 복종하라고 촉구하는 로마서 13장 1-7절만 읽어보아도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예수께서주시다‘라는 선포가 중심에 놓인 바울의 복음에는 여러 사회정치적 함의가 있었다. 성경에 깊이 뿌리 내리고 부활하신 예수와의 만남으로 불붙게 된 바울은 세상의 주인이 아우구스투스의 아들이 아니라 다윗의 아들임을 마음으로 굳게 믿었다. 그런 바울이 이사야의 언어를 사용해 예수께서 "일어나 민족들을 다스리시고 민족들은 그에게 희망을 둘 것"이라고 선언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하나님 나라로 가득 찬 바울의 복음은 야훼께서 이교 세계의 권세와 만신전(神)에 맞서 싸우신다고 가르치는 유대 전통에 내재되어있던 것이었다. 예수께서 주님이시라는 선언은 곧 카이사르는 주가 아니라는 말이었다. - P57
요한은 동료 신자들에게 자신이 본것을 보라고 촉구했다. 곧 로마의 권력이 비록 그 위대함과 영광을 뽐내지만, 사실 그것은 탐욕과 오만, 폭력이 뒤섞인 약탈적이고 우상숭배적인 혼합물에 불과할 뿐, 수확을 앞둔 포도처럼 심판의 시기가 무르익었음을 알아보라는 것이었다. 로마는 심판을 받을 것이고 멸망할 것이다. 주 하나님과 그분의 메시아를 대적하는 모든제국이 그렇게 될 것이다. - P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