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에 있는 바울
크리스터 스텐달 지음, 김선용.이영욱 옮김 / 감은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 크리스터 스텐달은 논문 The school of St. Matthew and its use of the Old Testament(1954)로 스웨덴의 웁살라 대학에서 신약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는 1984년 스톡홀름의 주교로 선출되기 전에 하버드 대학교의 신학대학원 교수였으며 학장도 역임했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에 있는 Shalom Hartman Institute의 종교 다원주의 센터의 책임자를 맡기도 했습니다. 유대교와 기독교 사이의 대화에 관심이 많았고, 우리나라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소위 바울의 새관점 학파와 관련해서, 논의 초기의 물꼬를 튼 학자로 자주 언급됩니다.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에 있는 바울은> 우리나라 식으로 말하자면 신학적 에세이들을 모아 놓은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에 있는 바울˝, ˝사도 바울과 서구의 성찰적 양심˝, ˝심판과 자비˝, ˝방언: 신약의 증거˝, ˝자료와 비평˝이라는 다섯 개의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글은 스텐달이 1961년 미국 심리학회 연례 학회 초청 연설로 강연한 원고인, ˝사도 바울과 서구의 성찰적 양심˝과 이를 좀 더 완성된 형태의 신학적 에세이로 보완한 글이며, 이 책의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에 있는 바울˝입니다.

스텐달은 기존의 바울 해석이 아우구스티누스와 루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것이고, 그 해석은 바울 신학에 대한 오해를 불러 일으켰다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바울을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그 당시 바울이 실제로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당대의 시대 배경에 근거한 성서 본문 연구를 통해 밝혀 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서 루터신학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받아들이고 있는 ‘이신칭의‘의 해석은 틀렸으며, 그것은 인간의 한계에 대한 뼈아픈 성찰에서 나타난 인간의 분열된 내면과 죄책감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당시 유대인과 이방인의 관계와 씨름하면서 바울이 내놓은 일종의 해결책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봅니다.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유대인 그리스도교인이 아니라, 이방인 그리스도교인이 늘어남에 따라, 본래 유대인들의 율법이해와는 다른 이해를 바울이 추구했으며, 그는 이방인들이 율법과 상관없이 유대인들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백성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길을 발견했고, 그것이 바로 이신칭의라고 봅니다. 좀 거칠게 말하자면, 유대인은 유대인만의 길이 있고 이방인은 이방인만의 길이 있다고도 볼 수 있는데, 스텐달이 약간은 모호하게 표현하고 있는 이 지점 때문에 케제만을 비롯한 루터주의 신학자들이 스텐달을 강하게 비판하는 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한 지난한 논쟁이 아직까지도 있는 것을 보면, 스텐달이 성서학의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틀림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저는 개인적으로는 ˝심판과 자비˝라는 에세이가 좋았는데요, 스톡홀름의 주교직으로 일한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이 글은 한 편의 훌륭한 설교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들었던 설교 중 단 2편만이 기억에 남아 있는데, 스텐달의 이 글을 설교로 본다면 이제는 3편의 설교가 기억에 남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내용은 사서 읽어 보시면 될 것 같아서 굳이 적지 않겠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부러웠던 것이, 아무리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대인이 주목을 받았고, 유대인과 유대교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많아졌다고 해도, 기본적으로 루터교의 한 분파인 스웨덴 교회의 주교가 루터주의 바울 해석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씁슬한 기분이 들었는데, 기본적으로 한국에서는 이런 신학적인 논의를 따라가는 게 불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이 1970년대에 출간되었고, 바울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글임에도 불구하고 이제서야 번역이 되었고, 어떤 신학책을 봐도 마찬가지이지만, 저자들이 인용한 논문이나 책은 대부분 번역은 커녕, 도서관에서도 구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중요한 학자들이 티키타카하는 것을 따라갈 수 있어야 공부를 할 수 있을텐데 말이죠. 뭐 교수들이 다 학생들을 믿어서 번역 따위는 하지 않고, 학생들만 읽는 자기 저서만 출간하는 열악한 현실에서, 어떻게든 이렇게 사상사에서 중요한 글들을 번역하는 분들이 대단하다는 생각만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