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한국사 365
심용환 지음 / 비에이블 / 202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한국사 365 / 심용환 / 비에이블 /
2020년

이 책은 한국사 전체를 7가지 큰 주제로 구분하여 다양한 정보를 주는
책입니다.
월요일 사건 / 화요일 인물 / 수요일
장소 / 목요일 유적,유물 / 금요일 문화 / 토요일 학문,철학
/ 일요일 명문장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책의 저자인 심용환 소장님은 역사교육을 전공하였고 대학원에서 현재 공부중인 역사 교육연구소 소장님입니다.
각종 강연과 방송 출연으로 쉽고 재미있는 역사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시는 분입니다.
책에는 정말 다양한 이야기 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던 지식과 다른 점도 상당히 많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 세종 대왕이 한글을 창제할 때 신하들의 반대는 거의 없었습니다. 창제이후 실용성과 쓰임새가 인정되어 별 문제 없이 민간에 보급되었습니다. 애초에
한자의 대체어가 아닌 보조어나 여성과 백성의 언어로 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 대하소설의 특징은 단순히 우리 역사를 풀어내는 데 있지 않습니다. 민중의 질곡 어린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고단한 한국사회에 대한 고뇌,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려는 성찰이 바탕에 있습니다
@안동 하회 마을의 구조는 도적이 약탈을 시도할 때 소작농들이 모여서
양반을 보호하는 형태였다
@국보와 보물은 단지 구분방식에 불과하고, 번호는 편의상 필요한 것으로 특별한 의미는 없다.
@’에밀레종’ 은 전설에
따르면 어린아이를 넣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데 조사에 의하면 이건 사실이 아니다.
@덕수궁 돌담길을 다녀간 연인들은 이별한다는 속설이 있었는데, 예전에 이곳에 가정법원이 있었기 때문에 이런 이야기가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하루에 한 페이지 365일동안
한국사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자”
참 좋은 말이고 이상적인 말입니다.

하루 1페이지는 부담도 없고 쉽게 읽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여기는 엄청난 맹점이 있습니다.

어떤 행동을 매일 하면서 습관으로 굳혀지게 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매일하자고 마음먹은 일을 생각해보세요. 당신은 지키셨나요?)
그런데 매일 한국사를 1페이지씩 보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다면 자연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보통 책 읽듯이 읽을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이 책을 읽으면 가장 크게 다가오는 단점이 각 페이지마다의 명기되어 있는 숫자입니다. (그것도 아주 크게!)
이것은 은근히 독자를 압박해옵니다. 의식하기 싫어도 얼마나 책이 남았는지
의식하게 됩니다.
1페이지씩 각기 다른 정보가 있으니 책을 읽는 다는 느낌보다는 백과사전을
읽는 듯합니다.
이건 책을 읽는 진도에 큰 영향을 줍니다.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전 대부분 비슷할 것같습니다.)
365 시리즈가 몇가지 더 있는 것 같은데 다 같은 상황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단점이 더 크게 보이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책은 단점을 커버할 만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보의 다양성 측면에서 볼 때 이런 책의 구성은 너무 아쉽습니다.
하지만 긴 시간동안 조금식 읽는 다면 세대를 막논하고 분명히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비에이블에서 출간된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한국사 365 는 온라인, 오프라인 서점에서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