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2 - 산은 강을 넘지 못하고, 개정판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2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젊었을 때 1권을 읽고, 나이 들어 2권을 읽으니 그 느낌이 사뭇 다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의 유적을 답사할 때면 그곳의 내력을 알고 모름에 따라 유물의 성격뿐만 아니라 그 의의를 느끼는 데 엄청난 차이가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에게도 세계에 그런 식으로 내세울 문화유산이 있나요?"

"물론 있죠. 동의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마는 우선 한글이 그렇고, 제 책에 쓴 에밀레종이 그렇고, 팔만대장경이 있고, 무엇보다도 석굴암이 있습니다. 그럴 일이야 없겠지만 우리의 모든 문화유산이 다 사라진다 해도 석굴암만 남아준다면 한민족이 살아온 문화적 긍지는 손상받지 않을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런데 인간의 꿈이란 묘한 것이어서 그런 끔찍한 현실, 절박한 삶을 버티고 살아가게 하는 것은 오직 희망이라는 사실이다. 그것이 곧 절망이 되고 허망인 것을 알면서도 당장은 그것이 있기에 버티는 것이다. 막장인생의 힘은 지금도 거기에서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술품은 하나의 물체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물(物) 자체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 물체를 통해 나타나는 상(像)을 갖고 이야기한다. 유식하게 말해서 오브제(objet)가 아니라 이미지(image)로 대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