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카스트
스즈키 쇼 지음, 혼다 유키 해설, 김희박 옮김 / 베이직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교실 카스트'란 단어를 아는가?
아니, 들어본적이 있다거나 어떤 뜻을 가진 단어인지 대충 짐작은 할까. -
말 그대로 교실 카스트란 인도의 신분제도에서 모방되어진 '카스트'란 단어와 학교라는 특정 집단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에 이 둘을 합쳐 교실 카스트라 칭하며, 알게 모르게 우리의 문화속에, 삶속에 정착되어진 안타깝고도 슬픈 현상을 말한다.

요즘은 이러한 현상을 TV프로그램이나 영화, 책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특히나 일본작품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더욱이 많이 접할 수 있다.
이렇게 쉽게 접하다보니 심각성을 모르고 그 문화아닌 문화에 점차 동화되어가는것이 현실이다.
학교에서는 집단이 형성되고 각 집단에 맞는 서열이라는 것이 존재하게 되면서 그렇게 단계가 나뉘며 아차하는 짧은 순간에 상위그룹과 하위그룹, 또는 그보다 더 세세하게-  쉽게말해서 편이 나누어지게 된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같은 나이, 같은 학년의 학생끼리도 무시하고 얕잡아보는 경향이 생기며, 그로인해 우월감과 즐거움을 느끼고, 반대입장의 학생에게는 위축과 공포심마저 들게된다.

이러한 현상 자체도 문제일 뿐더러 이러한 현상을 접하는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어린아이들 뿐만아니라 부모들끼리의 관계에서도 계급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소소하게는 성격과 취미에서부터 시작하여 집안, 재산, 사회적 지위까지 그 범위는 말로 할 수 없다.
그도 그럴것이 어릴적 그러한 현상을 겪고 자라난 아이들이 부모가되어 똑같이 그 행동을 반복함으로써 점차 범위가 넓어지고 겉잡을 수 없는 속도로 번져나간다는 것이다.

이런 무서운 세상속에서 고작 열 몇살의 아이가 혹은 그보다 나이가 많거나 적은 사람들이 혼자힘으로 이를 극복한다는 것은 말이 쉽지 정말 엄청난 문제일 것이다.
책에서도 말하듯이 소위 하위계급에 속하는 사람이라면 더더욱이 그럴것이다.
학교를 예로 들자면 어떤 한 아이가 교실내에서 집단따돌림을 당한다고 가정해보자.
그 아이외에도 하위그룹에 속하는 아이들은 더러 있지만 자신 또한 따돌림을 당할까봐 두려워하고 무서워서 말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잘못된 것임을 알면서도 그 친구를 도와주지 못하고 방관자가 되어버리는게 요즘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선뜻 나서 그 친구를 구해 줄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옳지 않은것임을 분명하게 알고 있으면서도 달라질 수 없다는 것이 너무나 안타깝다.

무엇보다 아이에게 힘이 되주어야 할 부모나 교사들이 이를 별 대수롭지않게 여기고, 사소한 것으로 치부해버리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인 것 같다.

이런 현실을 이야기하듯 이슈되는 사건, 사고, 뉴스 등에서도 이지메(집단따돌림,왕따)와 교실 카스트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언제부턴가 집단 따돌림으로 상처를 받고 고통받아 자살하는 어린친구들을 심심찮게 뉴스에서 볼 수 있다. 그럴때마다 어떻게 했길래 저 미래가 창창한 어린 아이가 자살까지 생각했을까 생각하니 마음 한구석이 굉장히 아려오기도 했다. 하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나 또한 어린 친구를 죽음으로까지 이르게한 방관자임을 간과해서는 안되는 일이다.
물론, 직접적인 사건과 관계는 없다할지라도 학창시절을 돌이켜보면 나도 그러했다는 것이다.
뭐가 그렇게 무섭고 두려워서 도와주지를 못했을까- 하는 마음 말이다.

책을 읽어내려가며 하위그룹에 속했던 나로써는 많은 공감도 했지만, 이 문제를 어떻게 해야 해결할 수 있을까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게 되었다.

책에서는 이 교실 카스트의 의미와 문제점, 특징과 그에 대한 학생과 교사가 바라보는 입장, 논점과 대책에 대해 다루고 있다.
설문응답과 인터뷰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여 다수의 경험과 느낌, 생각을 토대로 정리하여 교실카스트의 현시점과 그를 바라보는 인식,태도,해결책 등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이야기한다.
물론 설문과 인터뷰를 통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개인의 주된 생각을 토대로 책에서 다루고 있어 100% 신뢰할 순 없다.
그치만 중요한 것은 학생과 교사 모두 이 현상에 대한 인식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며, 그 현상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받아들임에 있어서 학생들은 권력에 의해 서열이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며, 교사들은 능력에 의해 정해져 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는 것이다.

개인차가 물론 존재하겠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부터 달라져야한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