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슬기로운 좌파생활 - 우리, 좌파 합시다!
우석훈 지음 / 오픈하우스 / 2022년 1월
평점 :
한국에서 좌파란 단어엔 억압과 굴욕, 아픔과 상처, 조용한 침묵과 고행, 홀로 하는 외로운 투쟁, 결국엔 자본주의 사회에서 비루한 모습으로 전락해버린 이미지를 연상하게 된다. 나만 이렇게 좌파란 단어에 최악일 정도의 선입견이 있는 것일까? 이념 문제를 다루었던 대하소설 속 좌파의 이미지가, 근대사회에서의 좌파의 이미지가, 결국엔 빨갱이로 몰려 시민들에게조차 손가락질 받았던 좌파의 이미지는 다른 여러 나라에서 표현되는 좌파와 크게 다른 모습으로 한국에서 존재한다란 것에 공감한다.
정치인들이 벌이는 설전 속에서 에둘러 '당신 좌파야?'라고 말하고 있지만 그 뉘앙스와 혐오적인 눈빛에서 '너 빨갱이지?'란 느낌을 받았던 사람이 비단 나뿐임은 아니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여하튼 이제는 대놓고 좌파라고 말하는 사람도 없겠거니와 폐쇄적이기조차 한 한국 사회에서 대놓고 좌파라고 했다가는 사람들의 냉대를 감수해야 함은 숙명이기에 <슬기로운 좌파생활>이란 책 제목을 봤을 때 왠지 너무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이제야 자신의 목소리로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은 보폭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전달했던 우석훈 경제학자가 본 모습을 드러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반가운 마음과 궁금했던 마음이 반이었던 것 같은데 책을 펼쳐보니 기존에 읽었던 이분의 책과는 느낌이 달라서 그 어느 책보다 더 즐겁게 읽어내려갔던 것 같다.
한국에서는 조금 왜곡된듯한 좌파의 개념은 평등주의자, '이갈리테리언'으로서 케임브리지 영어사전에 실린 뜻을 보면 '모든 사람들은 동등하게 중요하며, 삶에 있어서 같은 권리와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믿는 사람'이라고 정의되어 있다고 한다. 천천히 곱씹으며 읽다 보면 좌파란 단어에 조금은 예민하며 좌파란 단어를 내뱉는 정치인들의 비하적인 뉘앙스에 몸서리를 쳤던 나조차도 좌파란 단어를 제대로 모르고 있었구나란 생각에 다시금 찬찬히 생각해 보게 된다.
책을 읽다 보면 나는 강준만 교수의 책 제목에서 '강남 좌파'란 단어를 처음 접했지만 그게 누구의 입에서 먼저 나왔는지 중요하다기보다는 솔직히 강남 좌파라고 불리는 것 자체에 의구심이 들었었는데 저자도 같은 생각을 가졌던 듯하다. 강남 좌파보다는 강남 진보라고 해야 더 옳은 표현 아니냐는 글에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였으니 말이다. 여하튼 한국에서는 좌파의 좀 더 세련되고 유한 표현이 진보라는 단어로 둔갑하는 일이 많은데 좌파와 진보는 다른 것이며 한국 사회에서 좌파의 개념과 좌파라고 내세우는 사람들의 이야기, 그의 직업에 맞게 경제학에 관한 이야기도 엿볼 수 있다.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속 시원하게 다가오고 왠지 속이 좀 시원하게 뚫리는 듯한 기분까지 느낄 수 있는데 부디 본인 스스로 좌파임을 밝혔다고 괜한 트집으로 곤란을 겪는 일이 발생하지 않기를, 책을 읽으면서 조바심을 냈던 건 나만이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