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는 미쳤다>를 리뷰해주세요.
-
-
스타는 미쳤다 - 성격장애와 매력에 대한 정신분석 리포트
보르빈 반델로 지음, 엄양선 옮김 / 지안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화려한 인기 속에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고 있는 가창력 높은 가수 전인권의 가수 인생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사실이 하나 있다. 그것은 대마초 등 마약 관리 법 위반으로 법의 저촉을 받아 여러 번 구속 되는 사실을 들 수가 있다.
대마초 흡연에 대한 위반으로 비슷한 관련 사건으로 연류 된 여배우 김 부선 등도 대표적인 마약관리법에 대응한 권리를 주장하면서, 홍보 역할을 하거나 동조 하고 있는 연예인이다. 또 일부 연예인 중에는 자살 이라는 극단의 방법으로 인생을 포기하기도 한다.
창조적인 활동을 요구하는 연예인에겐 마약의 유혹은 아주 흔한 일이다. 많은 연예인들이 대마초 흡연의 유혹에 정신적으로 많이 시달리고 있는 애환을 가히 짐작 할 수 있다.
더 새롭게 보이거나, 강렬한 작품을 위해서, 자신의 몸을 학대 하는 것이 안타깝다.
버티기 힘든 연예생활이 마음대로 되지 않을 때거나, 어떤 계기에 의해서 고민의 수렁에 빠져 유혹에 흔들리는 불완전한 상태의 생활이 계속 되다 보니 그렇게 쉽게 마약의 유혹을 만나게 되는 것 이다. 겉으로 보기에 법의 저촉을 받으니 숨어서 해야 하는 연예인의 고충이 결국은, 성격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런 연예인의 성격 장애나, 심리적 갈등에 관한 집주 탐구를 담은 내용이 < 스타는 미쳤다, (성격장애와 매력에 대한 정신분석 리포트) 보르빈 반델로 , 엄 양선 역 , 지안 | 2009 > 이 책이다. 스타의 생애중 감정의 변화가 심각하거나, 자주 바뀌는 현상을 사례별로 정신 분석을 탐구한 책이다.
약 30여 명의 스타 중에는, 아동 성 추행 협의로 뉴스에 오르는 마이클 잭슨의 사례도 보이고, 습관성 마약에 노출 돼있는 유명 연예인의 정신적 질환이나 우울증의 증세는 많은 사례에서 보이고 있다. 로커로 유명한 지미 핸드릭스, 짐 모리슨 등도 경계성 성격장애로 많은 고통을 받았다.
만약에, 배우가 안됐다면 아마도 도둑이나 살인자가 되었을 것이라는 프랑스 배우의 고백이 피부에 와 닿는 말이 된 것처럼, 우리나라의 배우 중에도 자살의 유혹을 견디지 못하고 끝내, 세상과의 이별을 초래한 실례가 아쉬움을 남기는 일이다.
경계성 성격 장애가 있으면 환청이나 환영에 시달리며, 여자의 경우는 성폭행을 당하는 사례가 빈번 하다고 하니 미리미리 장애에서 극복하는 방법을 찾아야겠다. 책 에선, 경계성 증세 환자와 치료자의 관계를, 안정적 신뢰를 이루기를 권장 하고 있다.
“난 내가 아니야.” 경계성 성격 장애 환자 들은 이런 말을 자주 한다.
“난 지금 괴상한 영화 속에 사는 것 같아. 주위 모든 게 비현실적이야.
”이런 느낌을 이인 증, 비 현실감이라고 한다.
- p41-
어떤 증세가 나타났을 때, 약물이나 알콜의 힘에 의존하는 것 보다, 두려움에서 탈출하는 마음가짐이 절대로 필요하다. 자신의 의지로서 안 된다면 자신의 몸을 소중히 여기는 수단을 위해서라도 가급적이면 빠른 시일 내에 전문의의 협조를 구해야 그나마 있는 명예를 더 이상 잃지 않는 좋은 방법일 것이다.
대중 예술의 폭발적 에너지가 병적인 원인에서 출발 한다면 그에 대한 지속력은 장담할 수 없으니 당연히 인기 생명의 두려움에 위태로운 생활이 되게 마련이다. 연예인이 겪는 다양한 성격 장애 중에는, 심리 치료가 요구 되는 정도의 판단을 하게 되는 연예인이 많이 있다. 그 중에는 마치 배우 연기를 하는 듯 한 다중 인격자의 증세를 보이는 특이한 사람도 있다,
유아기나 청소년기의 불행은 억압과 강박증에 의한 성격장애로 성인이 되어서 까지 괴롭힘을 당하는 일이 많다. 스타들의 어두운 이면에는 가정불화나 어린 시절의 잘못 된 방황도 한 몫 한다는 사실에서, 가족과 친지의 관심과 애정만이 탈선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잘못 된 향락은 화려한 연예 생활의 적이며, 성욕이나 식탐은 극단적 행동으로 발전되기 쉬우니까, 정서 불안이 되지 않게 평상시에 독서나 적절한 운동으로 심신을 단련해 나가는 자기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스타 뿐 아니라 예술 관계인의 성격 장애를 심리 분석한 이런 사례에서, 스타의 생활에 험 집을 내는 일 보다는 건전한 인생을 위한 방향을 논하는 것이 이 책의 요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