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찬다 삼촌 ㅣ 느림보 그림책 38
윤재인 글, 오승민 그림 / 느림보 / 2012년 2월
평점 :
‘추상 사다리’라는 말이 있다. 일본의 하야카와 교수가 고안했다는 이 용어는 구체의 사물을 점점 더 추상으로 표현해 가는 체계를 뜻한다. 예를 들면 ‘우리집 식탁 위 바나나 -> 과일 -> 먹을거리 -> 생존…’ 식으로 범위가 넓어지는 거다.
<이가령 선생님의 싱싱글쓰기>(이가령, 지식프레임)에서 이가령 선생님은 글쓰기는 추상 사다리의 아래쪽에서 출발하라고 말하면서 추상 사다리를 연습할 수 있는 문제를 낸다. 다음에 나오는 추상 사다리를 보면서 ‘그렇다, 아니다’로 답해 보자.
• 흑인종 백인종 모두 신 앞에 평등하다.(그렇다, 아니다)
• 흑인이 우리나라에 와서 살 수 있다.(그렇다, 아니다)
• 흑인이 우리 도시에서 살 수 있다.(그렇다, 아니다)
• 흑인이 우리 옆집에 살 수 있다.(그렇다, 아니다)
• 나는 옆집 흑인을 만나면 인사할 수 있다.(그렇다, 아니다)
• 우리 아이가 흑인 아이와 놀이터에서 놀 수 있다.(그렇다, 아니다)
여기까지 쉽게 대답할 수 있었다면, 저자는 다음 질문에도 쉽게 답할 수 있는지를 묻는다.
• 우리 딸이 흑인 청년과 결혼할 수 있다.(그렇다, 아니다)
글쓰기는 추상이 아닌 구체적인 사실에서 시작하라면서 든 예시였는데 글쓰기 방법론보다 저 질문에 과연 나는 주저 없이 ‘그렇다’라고 대답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더 강렬하게 나를 파고들었더랬다.
현재 한국에 머물고 있는 외국인 수가 170만 명(2014년 4월 말 기준)이 넘고, ‘다문화’라는 말도 꽤 익숙해졌음에도 나의 인권 감수성은 얼마나 되는지를 되묻게 되는 질문이었다. ‘세계화’된 세계에서 전혀 세계화되지 못한 채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리 아이만은 좀더 ‘글로벌하게’ 살기를 바라면서 손에 든 책이 바로 <찬다 삼촌>이다.
솥을 만드는 아빠와 단둘이 살고 있는 주인공 여자아이네 집에 찬다 삼촌이 온다. 와서 아빠와 함께 솥을 만드는 걸로 봐서 외국인 노동자인가 보다. 어른들은 바로 선입견으로 찬다를 볼 테지만 아이의 눈엔 그는 그냥 이름이 ‘웃긴’ 삼촌일 뿐이다. 얼굴색에 대한 언급도 없다.
아빠는 손으로 밥을 먹는 찬다 삼촌에게 “젓가락질부터 배워야겠구만”이라고 말하지만 주인공 아이는 “내 손가락이 그거 싫다 해요. 손가락도 맛을 알어요”라는 찬다 삼촌의 말을 따라 몰래 손으로 밥을 먹어본다. 다름을 그대로 받아들일 줄 아는 모습이다. 그러면서 쉽게 찬다 삼촌에게 다가가고 그가 태어났다는 히말라야가 있는 집으로 돌아가지 않기를 바란다.
동화이기에 가능한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 이태원에 있는 외국 음식 전문점들에서 흑인들은 홀 서빙 일을 구하기 힘들다는 신문기사를 본 적도 있으니까. 한국의 공장이나 농장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받는 차별과 멸시에 대한 사례들은 또 얼마나 차고 넘치는지.
그래서 더욱 이 그림책이 소중하다. 2학년 통합교과서 <가족>에 수록됐다는 점도 의미심장하다. 핏줄로 연결된 사람들만 가족이 아니라는 걸 이제는 학교에서 배우고 있다는 말이니까.
글이 뚝뚝 끊기는 듯한 서술방식에 조금 아쉬움은 남지만 <찬다 삼촌>은 우리 아이가 외국인을 지구촌 한 가족으로 받아들이는 데 도움을 줄 첫 책으로서는 손색이 없는 동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