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 이 책은 자신의 부끄러움과 나약함, 무지함을 대면할 용기가 필요함.
아주 거칠게 표현하자면 책제목이 의미하듯 사랑의 모든 것에 대해 서술하는 책이다. 사랑의 정의부터 시작하여 사랑에 필요한 것, 사랑으로 오인할 수 있는 것, 심지어 신에 대한 사랑까지 다루고 있다.
세상 어디나 사랑을 부르짖는다. 유행가 가사에도, 광고에도, 일상적인 대화에도. 우리는 '사랑'이라는 단어에 중독되어있다. 하지만 정작 사랑이 무엇이냐 라고 묻는 사람은 드물다. 오히려 그런 질문을 하면 바다를 왜 바다라고 부르는지에 대한 질문처럼 황당한 사람 취급을 받기 마련이다. 저자인 벨 훅스는 사랑을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의 영적인 성장을 위해 자아를 확장하고자 하는 의지'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사랑에 대한 개념은 듣도 보도 못한 것으로 감탄을 자아낸다. 가장 큰 오해를 부를 수 있는 '의지'라는 것은 다름아닌 '의도와 행동'이라는 것으로 사랑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선택'하는 사람만이 사랑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사랑은 명사가 아닌 동사이다.
때로 우리는 애정을 사랑과 동일시하여 그것이 충분조건인 것처럼 여기지만 사랑은 애정뿐만이 아니라 관심과 보살핌, 인정하고 존경하는 태도, 신뢰와 헌신, 솔직하고 개방된 커뮤니케이션을 최소조건으로 한다. 입이 다물어지지 않을 지경이다. '저게 가능하다고? 그럼 지금까지 내가 했던 사랑은 뭐지?'라는 의문이 들 수 밖에 없다. 그저 몸을 섞고 애정을 나누고 관심사를 함께하는 것만으로는 사랑이라고 부를 수 없는 것이다.
관습가족 내의 가족구성원 특히 아이와의 관계에서도 말로만 사랑이 아닌 실제 행동으로 사랑을 보여야 일명 '기능장애가족'의 함정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부모도 모르는 사이 아이에게 일관된 사랑을 행하지 않을 경우 그 아이는 사랑의 결핍으로 결국 어릴 때 겪었던 고통을 당연시하게 되면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동일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즉 말로만 사랑한다 하지 말고 앞서 정의내렸던 사랑의 개념을 적용하여 사랑을 행하라는 것이다.
벨 훅스는 가부장사회 내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이 사랑에 가까운 개념을 반강제적이지만 습득하게 되어 여성이 남성보다 앞서 기술한 사랑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고 한다. 사실 남성다움이라고 불리우는 것은 무뚝뚝하고 마초적이며 강압적이고 권력지향이기에 사랑이라는 것을 하기 어렵다. 이 점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책이라 불리울 수 있지만 그 이면에는 남성의 필독서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주로 예를 드는 것이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의 개념인데 이를 화성과 금성처럼 서로의 언어와 행동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일축하기에는 여성의 노력이 무색해지는 지점이다. 여성은 사랑으로 남성을 감화하려하지만 사회적으로 남성다움을 강요하는 사회이기에 남성이 무의식적으로 사랑을 거부하게 된다는 것이 저자의 설명임을 감안할 때 이 책은 오히려 남성이 여성을 이해하기 위한 필독서인 것이다.
이제 글 제목에 표현했듯 이렇게 좋은 내용의 책을 조금은 비트는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 만약 지금의 상대가 혹은 앞으로 만날 상대가 저 개념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의지를 가지고 선택을 했는데 과연 노력만으로 되는 문제인가. 벨 훅스는 이 책에서 그 문제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결국 각자의 선택으로 남게 된다는 점에서 '올 어바웃 러브'가 아닌 '올모스트 어바웃 러브'라고 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