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2 : 문 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안다 노자, 도덕경 시리즈 2
차경남 지음 / 글라이더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노자의 도덕경을 참 쉽게 풀어놓은것 같은데, 책 한권으로 노장사상을 이해하기란 참 어렵다.

그럼에도 이책의 저자는 도덕경의 중요부분들을 끄집어와서 최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첫구절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은 도덕경 전체를 압축해놓은 문장이라고 한다. 그래서 도덕경의 어떤 구절을 읽더라도 첫문장과 연결되어있고 첫문장을 풀이하는 정도라고 한다.

노자가 말하는 도는 내가 생각했던 '도덕'이 아니라 천지의 광대무량한 도이고, 순리자연한 도이고, 무위자연한 도 인것 같다.

 

그러니 그 깊이를 어떻게 헤아릴 수 가 있을까. 그렇기 때문에 성인과 범부를 가르는 명백한 기준은 '도' 를 아느냐, 모르느냐 일수 밖에 없다.

그리고 성인과 범부는 고정되어 있는것이 아니라 '도'를 행할때는 성인이 되고 '도'를 행하지 못할때는 범부가 되는 이치일것이다.

 

그런데 왜 문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안다고 했을까?

그것은 아마도 도란 우주만물을 관장하는 이치면서 , 성품의 기본원리이기도한 때문일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바로 내 안에 이미 우주가 건설되어 있고, 성품 즉 천하를 관장하는 이치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무에서 유로, 유에서 천하만물로.. 끊임없이 돌고 도는것.

그렇기 때문에 무와 유는 결국 같은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한생각이 일어나기 전에는 분별성과 주착심이 없는 고요한 마음 상태다. ( 분별성이란 이분법을 의미한다. 끊임없이 둘로 가르는.. 예쁘고 밉고/ 옳고 그르고/ 좋고 나쁘고/ 더럽고 깨끗하고.., 그리고 그 두가지 상태중 한가지를 잡는것을 주착심이라 한다)

이것을 노자가 말한 무-유-천지만물로 풀어보자면

분별이 있기 전 자리를 무라고 하고, 분별이 나타나는 자리를 유라고 하자. 그리고 그 분별로 인해 뻗어가는 마음들을 천지만물이라 하자.

 

이렇게 살펴볼때, 노자가 말하는 성인이란 무-유-천지만물의 변화를 진리(도)의 작용으로, 이치로, 변화로 볼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하는것 같다.

무-유- 천지만물이 각각이면서 하나인 이치를 아는 사람, 그렇기 때문에 그 어디에도 착(着)하지 않을수 있는 사람.

그렇기때문에 성인의 마음은 고정된 것이 없고 천지처럼 광대무량한 것이다.

 

노자를 읽으면서 나는 처음에는 도를 엄청난 수행을 통해서 어느날 펑~ 하고 터지는 득도(?)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심리학에서 말하는 왜곡된 인지과정을 이치에 대조해서 돌리는 과정이 끊임없이 연습된다면 삶속에서 도가 나투어질수 있지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돌려졌다.

문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안다는 책의 제목이 가슴에 푸욱 파고들어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