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밥나무 열매가 익을 때
요안나 콘세이요 지음, 백수린 옮김 / 목요일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치밥나무 열매가 익을 때

:안개 같은 푸른빛이 감도는, 애정 어린 시선이 담아낸 

한 사람의 삶에 대한 추억

요안나 콘세이요 지음





요안나 콘세이요(Joanna Concejo)




혹시 그는 어렸을 때를 기억하고 있을까?

깃털처럼 가벼웠던


어린 시절. 성인이 된 누군가가 지나 왔을 어린 시절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특히 항상 누구보다 커다란 어른의 모습을 한 단단하고 고단해 보이는 뒷모습을 가진 나의 아버지라면…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딸을 어떻게 사랑해야 할지 잘 몰랐던 모든 아버지에게


<까치밥나무 열매가 익을 때>는 작가 요안나콘세이요가 자신의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쓴 책입니다. 책 맨 뒤에 써놓은 글을 보며 아버지라는 이름이 가진 삶의 무게를 느끼게 합니다. 어린 시절, 한 인간으로서 그리고 아버지로서  걸어온 시간. 어른이 되어 바라보게 된 삶이라는 여정을 버텨내는 아버지의 뒷모습은 마음 깊은 곳을 건드리는 묵직한 애정과 뭉클함이 느껴집니다.


<까치밥나무 열매가 익을 때>는 줄거리를 따라서 읽어나가는 책은 아닙니다.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일상과 함께 했던 시간을 추억하는 모습을 사진을 펼쳐보듯 바라보게 됩니다. 책의 마지막 장을 덮고 났을 때, 단편적으로 펼쳐지던 이미지는 한 덩어리로 단단하게 뭉쳐져 가슴에 들어옵니다. 요안나 콘세이요는 아버지에 대한 추억을 시간의 순서가 아닌 생각의 흐름으로 풀어냅니다.  아버지를 추억하는 그녀의 생각의 리듬을 따라가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책 전체의 부드럽게 깔려있는 안개 같은 푸른색은 앙리가 살아온 시간, 장소의 분위기를 만들어냅니다. 색이 바랜, 시간을 드러내는 오래된 종이에 푸른색 색연필과 연필, 펜으로 그려낸 이미지들, 스크랩처럼 테이프 자국이 그대로 드러나 있는 요안나 콘세이요의 그림에서는 시간의 향기가 맴돕니다.  그녀가 사용한 연필과 색연필은 시간을 들여 그은 선들로 그리고자 하는 것들을 표현하는 재료입니다. 시간과 손의 힘, 선의 느낌을 그대로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물감과는 다른 깊이와 감동을 줄 수 있는 재료기도 합니다. 천천히 흘러가는 이 책 안에서의 시간이 느껴집니다. 바람이 느껴지는 연필 선과 선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울림은 연필이라는 재료가 주는 꾸밈없는 담백함이 주는 깊이가 얼마나 큰 것인지를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합니다. 



앙리는 벤치에 앉았고,

여름의 열기가 아직 남아 있는 


집 나무 벽에 등을 기댔다.

그는 눈을 감았다.

그리고 자신의 온 존재를 다해

고양이 털의 부드러운 잿빛 심연 속으로 

서서히 가라앉았다.



<까치밥나무 열매가 익을 때>는 이미지로 만들어진 시집으로 읽어집니다. 표지를 넘긴 그 순간부터 삶이 움직이는 그 고요한 움직임과  속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한 사람이 걸어온 풍경을 마주하게 됩니다. 








“당신은 이 책에서 길을 잃을지도 몰라요. 어쩌면 그래야만 하고요. 사건의 순서를 찾으려 애쓰지 말아요. 들판을 혼자 걸으며 나만의 길을 만들어 보세요. 저는 이 책을 자세히 설명하지 않으려고 해요. 아주 개인적인 이야기기도 하지만, 어떤 것들은 안개 속에 숨어 있도록 내버려 두는 것도 좋으니까요.” 

- 요안나 콘세이요 






[부부가 함께 읽는 그림책] 남편의 리뷰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https://blog.aladin.co.kr/712851116/124314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