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 유시민의 30년 베스트셀러 영업기밀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5년 4월
평점 :

글쓰기를 잘하고 싶은데, 방법도 모르고, 누구에게 배운다는 건 힘들다.
유시민의 글쓰기특강에서는 글쓰기를 운전에 비유한다. 나는 운전면허는 있지만, 연습을 하지 않아 장농면허이다. 운전도 글쓰기도 방법만 알고 연습을 안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 이 책은 시나 소설이 아니라 논리적 글쓰기를 잘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논리적인 글을 쓰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선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다.
첫째, 취향 고백과 주장을 구별한다. 둘째, 주장은 반드시 논증한다. 셋째, 처음부터 끝까자 주제에 집중한다.
어릴때나 어른이 된 지금도 누구와 토론을 해본 적이 없어 논리적 사고가 부족하다. 남편과 대화를 할 때 서로 의견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주장이 아닌 취향 고백을 해서 그런거 아닌가 싶다.
글쓰기를 시작하려면 텍스트 발췌 요약에서 출발하는게 좋다. 글쓰기에는 철칙이 있다고 한다.
첫째, 많이 읽어야 잘 쓸 수 있다. 둘째, 많이 쓸수록 더 잘 쓰게 된다.
텍스트를 요약 하려면 정보를 파악하고 논리를 이해하며 감정을 느끼는 독해력을 갖추어야 한다.
독해력과 언어 구사 능력을 기르려면 책 읽기를 즐겨야 한다.
독해력을 기르기 위해 유시민 작가는 몇권의 책을 추천해 주었다. 나는 그걸 목록으로 만들어 두었다.
시간이 걸리긴 하겠지만, 박경리의 <토지> 부터 읽어 볼 계획이다.
못난 글을 피하기 법은 텍스트를 소리어 읽어 보는 것이다. 말로 해서 좋야야 잘 쓴 글이기 때문이다.
많은 지식과 멋진 어휘, 화려한 문장을 자랑한다고 훌륭한 글이 되는 게 아니라, 독자가 편하게 읽고 싶게 이해하는 글이 훌륭한 글이다. 글은 뜻을 분명하게 전하는 단문이 좋다. 단문 쓰기만큼 중요한 것이 뜻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어휘 선택이다.
글을 잘 쓰려면 아날로그 방식으로 글쓰기 근육을 만들어야 한다. 보이는 것에서 시작해서 귀로 듣는 것을 거쳐 마음으로 느끼고 머리로 생각하는 것을 종이에 적어 둔다. 꾸준히 글을 쓰는데 짧게 또는 길게 글을 써본다. 문장의 군더더기 접속사, 형용사와 부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문장 요소를 과감하게 삭제해야 한다. 글은 읽기 쉽게 써야 한다. 읽는 사람이 글쓴이의 마음과 생각을 느끼고 공감할 수 있게 써야 잘 쓰는 것이다.
글은 그 글을 쓰는 사람을 말한다. 글을 통해 우리는 그 사람의 인격과 성품을 알 수 있다. 진정한 글은 자신의 진심을 솔직하게 표현한 것이고, 그런 글은 세상의 공감을 얻어 낸다. 짧은 글이라도 큰 힘을 발휘하는 것은 글을 읽는 사람들의 내면을 건들여 움직이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글을 쓰는 것에 다시 한번 중요성을 알았고, 그 전에 내가 써왔던 글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고, 앞으로 글을 잘 쓰기 위해 어떻게 해야할 지를 알았다. 하루 아침에 좋은 글을 쓸 수 없지만, 매일 글쓰기를 연습하고 책 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으면 원하는 바 좋은 글을 쓸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