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지음, 김지원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헤이즐은 갑상선 암이 폐까지 전이 되어 늘 산소통을 가지고 다녀야 하는 열여섯 살 소녀다. 집에만 있는 헤이즐은 죽음의 부작용으로 우울증과 무기력증을 치료하기 위해 주치의로 부터 일주일에 한 번 서포트 그룹에 참석하는 걸 권유 받는다. 그곳에서 안암으로 시력을 잃어가는 아이작의 친구 열일곱 살의 골육종으로 오른쪽 다리를 잃은  어거스터스를 만나고 두사람은 첫 눈에 호감을 갖는다.

 헤이즐은 아파서 3년 동안 학교를 갈 수 없어 졸업인정시험을 통과하고 전문대학에서 강의를 듣고, 엄마 아빠와 tv 쇼프로그램도 즐겨보고, 책을 많이 읽는데 그중 피터반 호텐의 <장엄한 고뇌>를 가장 좋아한다. 헤이즐은 자신을 언제 터질 지 모르는 수류탄이라 생각해 상처 줄까봐 초반에는 어거스터스를 밀어 내지만,어거스터스의 소원 사용권으로 파터반 호텐이 초대(엄밀히 말하면 그의 비서 리더비히의 초대)해서 암스테르담으로 함께 여행을 다녀온 후 두사람은 연인으로 발전한다.

<장엄한 고뇌>가 출판된 지 10년이 지났는데도 그 후속 작품이 나오지 않아 책 속 안나의 엄마와 네덜란드 튤립 맨, 햄스터 시지푸스 모두가 궁금한 헤이즐은 작가 피터반 호텐에게 물어보지만, 그는 술주정뱅이에 무례한 배불뚝이 아저씨에 불과했다. 여행가기전에 암이 재발한 거스는 여행 다녀온 후 바로 치료를 하지만 그는 점점 죽어간다. 거스는 죽기 전에 헤이즐을 위해 무언가를 남기고 간다.

또 뭐가 있지? 그 애는 정말 아름다워요. 그 애를 아무리 보도 질리지 않아요. 그 애가 나보다 더 똑똑하지 않을까 걱정할 필요도 없어요. 더 똑똑하다는 걸 이미 아니까. 그 애는 남을 헐뜯지 않으면서도 재미있어요. 난 그 애를 사랑해요. 그 이를 사랑할 수 있어서 난 정말 로 행운아예요. 반 호텐. 이 세상을 살면서 상처를 받을지 안 받을지를 선택 할 수는 없지만, 누구로부터 성처를 받을지는 고를 수 있어요. 난 내 선택이 좋아요. 그 애도 자기 선택을 좋아하면 좋겠어요.

나도 좋아, 어거스터스.

나도 좋아. ​                          <본문 325쪽 : 맨 마지막 페이지>

 

언제 죽을 지 모르는 말기 암환자 헤이즐에게 운명같은 사랑이 찾아온다. 그는 처음부터 예쁘다며 오늘 바로 자신의 집으로 가서 영화를 보자한다.병원과 집을 오가며 죽음의 문턱을 넘나든 헤이즐은 아마도 두려웠을 지도 모른다.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이 죽은 후 밀려오는 슬픔을 주기가 싫었을 것이다 나은 줄 알았던 거스가 재발하면서 먼저 하늘나라로 가고 헤이즐은 화가 날 정도로 슬픔에 빠진다. 그러면서 자신의 그림자와도 같은 엄마를 이해한다.이 책에는 환우가 있는 가족들의 희생, 아픔, 서로에게 힘든 걸 내색하지 않으려는 모습, 그리고 이 모든 걸 이겨내는 슬프지만 아름다운 사랑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