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구두당
구병모 지음 / 창비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멋모르고 읽었던 동화들은 성인이 되어 다시 생각해보면 성평등이나 인권적으로 문제가 많았습니다.  시대적 배경을 감안하고 읽으며 이리저리 생각 해보아도 참 잔인하다는 것은 변하지 않더군요.  잔인하고 슬픈 동화라는 걸 깨달았으면 그만 읽어야 할텐데 저의 마음 한 구석의 잔인함과 변태적인 부분이 잔혹한 동화 읽기를 종용합니다.  그리하여 원작의 잔혹함도 모자란지 변형되거나 작가의 관점에서 다시 쓰인 동화까지 내 것으로 하고 싶어합니다.

구병모의 <빨간구두당> 도 이런 맥락에서 읽게 되었는데요. 묘사의 잔인함이 아니라 문학적으로 서술해 나가는 가운데 느껴지는 인간 심리의 잔인함이랄까, 어두움 같은 것을 느꼈습니다.  이 소설은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동화의 화자를 달리 한다거나 시점을 달리하여 등장인물들에게 새 생명을 부여했는데, 시점이 달라지니 그 작품을 보는 방향도 확실히 달라졌습니다. 특히 타이틀이자 첫번째 실려 있는 빨간구두당은 저를 오래된 영화 필름 속에 밀어 넣는듯 했는데요. 무채색의 세계에 진한 빨간 색 하나만을 찍어 놓습니다. 그 빨간색은 이리저리 어지러이 춤을 추며 돌아다녔고, 무채색의 세계에 아름다움을 넘치게 주어버린 결과 비극을 초래하게 됩니다.

소설들은 새로 구성되었긴 하지만 원작의 내용은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수백년이 흘러도 풀지 못한 저주 탓에 현대까지 노를 저어 온 노수부처럼 시간과 공간은 변했을지 몰라도 그의 두손에서 노는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현대인의 시선으로 본 동화는 더 잔인한지도 모르겠습니다. 마지막에 실려있는 화갑소녀전에서의 성냥팔이 소녀는 어쩐지 모반도체 회사에서 일하다가 죽어간 소녀들을 떠올리게 했습니다. 성냥 한개의 희망을 가지고 그녀가 마지막에 본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개구리 왕자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충복 하인리히를 주인공으로 하여 재구성 한 이야기도, 커다란 순무를 캐내어 나랏님께 바치는 농부의 이야기도 전혀 생각지 못했던 이야기로 다시 태어나서 또다른 행복감을 주었습니다. 행복하긴 하지만, 기쁜 이야기는 아닙니다. 암울하고 어두운데도 책을 읽으면서 기뻐하고 있었습니다. 역시 저는 어둠이 주는 아름다움을 좋아하나봅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장소] 2015-10-13 2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구병모 ㅡ저자 표기 가 ^^
-김 병모 ㅡ라고...고쳐야 겠네요.
실수..깜빡하신 모양 입니다.
^^

포니 2015-10-13 23:12   좋아요 1 | URL
어머낫!!
저자 서명을 틀리다니.. 큰 실례를 해버렸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장소] 2015-10-14 00:02   좋아요 0 | URL
가끔 오기 될 수도 있죠.^^
저자를 몰라서 그러신 것도 아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