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묘한 한국사
김재완 지음 / 믹스커피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재완 작가님의 <기묘한 한국사>는 우리 역사 속에 가려졌거나 흐릿하게 다뤄진 미스터리한 이야기를 깊이 있게 탐구한 책이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석이 분분한 유물, 특이한 인물, 독특한 관습, 그리고 미스터리한 음모론까지 다양한 역사적 주제를 다룬다.이 책은 기존의 정사 위주 역사 교육에서는 쉽게 접할 수 없는 흥미롭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독자로 하여금 역사에 대해 새롭게 접근할 기회를 준다.

 

첫 번째 장인 한국사 속 수수께끼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유물과 사료에 얽힌 숨겨진 이야기들을 다룬다. 예를 들어, 세한도가 일본을 거쳐 국내로 돌아오는 과정이나 첨성대의 구조에 관련된 비밀은 매우 흥미롭고 뜻깊었다. 광개토대왕릉비에 새겨진 신묘년에 대한 기록과 그 해석의 차이 또한 흥미로운 부분이다. 유물과 관련된 뒷이야기를 읽으며, 유적지를 찾아다니는 내 취미와 연결해 생각해보니 더 큰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두 번째 장은 조선 시대의 무덤 이야기를 다룬다. 조선의 송사의 대다수가 산송과 관련된 부분이었다는 점에서 무덤은 단순한 장소 이상으로 우리 민족의 의식 깊은 곳에 자리 잡은 상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세종의 묘자리를 옮긴 이야기와 조선을 넘어 400년이나 이어진 산송은 단순한 집안의 분쟁을 넘어선 사회적, 문화적 가치가 있었다고 본다. 농경 민족으로서 땅에 대한 애착이 깊은 우리에게, 잠재적 생활 터전이 될 수도 있는 명당을 조상의 영혼을 위해 기꺼이 양보하는 관습은 매우 인상적이다. 지금 산천을 지나다 관리되지 않은 묘자리를 마주할 때마다 땅을 차지하기 위해 고민했을 조상의 마음과 버려진 상태를 보는 후손의 마음이 어떨지 곱씹어보게 된다.

 

세 번째 장에서는 독립운동과 근대사를 다룬다. 홍범도 장군의 이야기를 비롯해 익숙한 독립운동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놀라웠던 부분은 우장춘 박사의 부친에 대한 내용이었다. 을미사변을 주도했던 친일파가 박사의 아버지라는 사실은 정말 충격적이었다. 아버지와는 완전히 다른 행보를 걸은 우장춘 박사의 삶은 한국 근현대사의 질곡과 맞물려 실로 드라마틱하게 느껴졌다. 이런 사례를 통해, 실제 역사가 영화보다도 극적인 이유를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네 번째 장에서는 한국사 속 음모론을 탐구한다. 영조의 경종 독살설이나 정철의 정여립 모반 사건처럼 익숙한 음모론도 등장하지만, 훈요십조의 호남 차별 조항을 둘러싼 논란이나 왕건의 생전 행보를 대조한 이야기는 굉장히 흥미로웠다. 특히 왕건의 주요 측근이 호남 출신이었다는 점과 이를 바탕으로 훈요십조가 조작된 것은 아닐까 하는 논란까지 깊이 있게 다룬 점이 인상적이었다. 또한 조선 왕조가 관서 지역을 역차별한 사례를 떠올리며, 조선과 고려 모두 왕권을 보장했던 배경 세력이 역차별을 받은 기묘한 아이러니를 발견하는 재미도 있었다.

 

다섯 번째 장에서는 궁녀와 내시, 역관과 화공 등 궁궐 속에서 살아간 이들의 이야기를 조명한다. 특히 내시와 환관이 다른 개념임을 알게 된 점이 가장 인상 깊었다. 고려 시대에는 내시가 신분이 낮은 이가 아닌 관직의 일종이었다는 것, 또한 이들이 단순히 궁궐의 하인이 아니라 고학력 전문직으로 왕권 강화에 기여했다는 점이 놀라웠다. 이들의 삶과 희생에 대해 이렇게나마 알게 된 점이 개인적으로 값진 발견이었다고 본다.

 

이 책은 역사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가려지고 흐릿하게 기록된 이면을 밝혀줌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우리 역사에 대한 신선한 흥미와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역사를 어렵고 딱딱한 학문이라 여겨 멀리했던 이들에게도 역사에 대한 재미와 깊이를 모두 잡은 책으로 충분히 추천할 만하다. 단순히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기에 강력히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