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르발 남작의 성
최제훈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퀴르발 남작의 성>은 레고와 같은 소설이다. <그녀의 매듭>이나 <그림자 박제>가 마치 무의식이 폭발하거나 질주하듯이 전개되는 것에 비해 <퀴르발 남작의 성>은 매우 치밀한 공학적 재미를 자랑한다. 이는 주제를 훨씬 다차원적이고 입체적으로 확장하기 위함이다.


<퀴르발 남작의 성>이라는 단편소설에서 다루어지는 이야기는 총 5개다.


1.1697년 실제 이야기

2.1897년 자네트 페로 할머니의 동화 <겂 없는 장과 퀴르발 남작의 성>

3.1932년 미셸 페로의 소설 <퀴르발 남작의 성>

4.1953년 에드워드 피셔의 영화 <퀴르발 남작의 성>

5.2004년 나카자와 사토시의 영화 <도센 남작의 성>


 이 중에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이야기는 세 번째 것과 네 번째 것, 즉 미셸 페로의 소설과 그것을 원작으로 한 에드워드 피셔 감독의 영화이다. 

 이 작품에서 드러난 소설과 원작의 큰 차이는 결말이다. 소설의 경우 하퍼 부부와 퀴르발 남작 부부가 다 같이 하퍼 부부의 딸을 요리해 먹는 것이 결말인 반면 영화에서는 하퍼 부부가 퀴르발 남작에게 저항하고, 퀴르발 남작이 최후를 맞는 것이 결말이다.

 나카자와 사토시 감독은 이를 두고 에드워드 피셔 감독의 영화에서 인간은 욕망에 매몰되는 존재보다는 이를 극복하는 존재로 표현되어 있기에 결말을 수정했을 것이라 했으며 소설의 결말이 더욱 현대적인 결말이라 평하였다.

 그러나 이 작품은 영화 제작자와 피셔 감독의 대화를 통해 이를 뒤집어 재미를 준다. 사실 에드워드 피셔 감독 또한 소설의 결말을 수정하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그렇다면 페로와 피셔, 나카자와 이 셋이 공통적으로 생각한 결말이 담고 있는 소설의 핵심은 무엇일까? 이는 나카자와 감독이 이미 언급했다. 바로 '욕망'이라는 키워드다.

 미셸 페로는 편집장과의 대화에서 이야기 세상이 현실보다 더욱 생기있었다고 말한다. 어린 아이의 경우 아직 자아가 발달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원초적 욕망이 담겨있는 퀴르발 남작의 이야기가 더욱 생기있게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성장한 후에도 퀴르발 남작은 페로의 '무의식을 배회하는 유령'으로 남아 있었다. 이는 인간의 무의식 속에 남아있는 욕망을 상징한다.

 그렇다면 어째서 페로는 퀴르발 남작을, 아니 욕망을 다시 소환한 것일까? 가장 기본적인 욕망들, 이를테면 인육을 먹는 식욕이나 할리우드 문법 속에 숨어있는 성욕 등은 모두 생존과 연결된다. 또 이러한 생존은 다시 실존적인 문제로 이어진다. 즉 미셸 페로는 '살고 싶다'라는 감정을 느낀 것이다.

 도대체 어떠한 현실이 미셸 페로에게 '살고 싶다'라는 감정을 불어넣었을까? 나카자와가 말했듯이 1932년은 미국이 대공황의 소용돌이 속에 빠져 있을 때였다. 그러나 이에 응수하듯 페로는 자본주의나 대공황을 가볍게 넘긴다. 하지만 잘 살펴보면 이것이 가볍게 넘기는 것이 아니라 회피하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미루어 보아 페로는 대공황 전까지 기득권층이였을 것이다. 대공황이 발생한 가운데 자신에게 회의가 들고, 자신의 주체적인 삶을 획득하고 싶다는 생각이 퀴르발 남작을 불러냈을 것이다.

  이러한 '살고 싶다'라는 감정은 현대에도 적용된다. 이 작품은 욕망을 다루는 태도를 1993년의 대학수업으로, 2000년의 논문으로, 2005년의 애틀랜타 사건으로, 2006년의 블로그로 확장한다.

 이 중에서도 가장 주목해 볼 만한 것은 2005년의 애틀랜타 사건이다. 작가는 애틀랜타 사건을 통해 미셸 페로의 고민이 현대인들에게도 있다고 지적한다.


'살고 싶다'는 감정. 그것은 누구에게나 있다. 나도 문득 퀴르발 남작을 꺼내고 싶어 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