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쟁중독 - 미국이 군사주의를 차버리지 못하는 진정한 이유
조엘 안드레아스 지음, 평화네트워크 엮음 / 창해 / 2003년 2월
평점 :
근대인의 자기보존의 강박은 괴상한 괴물들을 정당화하곤 했다. 위기와 공포를 파는 전쟁행상들은 신을 통해서든, 민주주의나 자유의 가치를 통해서든 자신을 선으로 치장한다. 자유와 평화라는 명분으로 미국은 타자를 살해하고 죽음의 공포로 몰아넣었다.
소위 신이 부여한 명백한 운명(manifest destiny)이라는 십자군적 사명을 가지고서. '우리는 세계를 지배할 인종이다. …우리는 세계의 문명화를 담당하라는 사명을 신으로부터 위탁받은 특별한 인종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 역할을 방기하지 않을 것이다. … 신은 우리를 선택하셨다. … 야만스럽고 망령든 사람들을 통치하기 위해, 신은 우리를 통치의 달인으로 만드셨다.'(앨버트 비버리지,1900)
전쟁강박은 안전을 위해 타자를 (실제로 혹은 사회적으로) 죽이는 상황을 정당화하는 야만으로 드러나고 있다. 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말처럼 '어떤 전쟁이든 대환영이다. 우리에게는 전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경제적, 정치적 필요에 의해 자의적인 적(敵)이 설정된다. 도무지 알 수 없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제국주의의 침략전쟁이 감행된다. 저자는 전쟁중독이라는 치명적 덫에 휘말린 미국의 역사와 현실을 간명한 삽화를 통해 풀어내고 있다.
저자는 묻는다. ㉠전쟁으로 부자가 되는 사람은 누구인가? 전쟁의 최대 수혜자는 과연 누구인가? 미 정부의 아름다운 수사처럼 억압받고 고통받는 제3세계의 인민들이 전쟁의 수혜자들인가? 저자는 헨리 키신저를 떠올리며 미국의 지배권력의 속내를 까발린다. “석유는 아랍인의 손에 맡겨두기엔 너무나 중요한 물건이야” 미국 군수산업체와 석유회사, 건설회사, 은행 예를 들어 GE, 록히드 마틴, 제너럴 다이내믹스, 보잉, 벡텍, 시티은행 등은 전쟁의 수요한 수혜자들이다.
또한 전쟁‘민주주의’를 파는 공화당의 부시정권도 전쟁의 수혜자들이다. 공화국을 공포의 소용돌이에 몰아넣고 세계시민들을 전쟁의 참화로 내모는 제국의 정치인. 그 야만의 정치가 전쟁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정당화된다. 그 상스러운 문명적 야만에 대해 저자는 미국 공화국 안의 피해와 미국 공화국 밖의 피해를 밝혀보인다.
미국 공화국 내의 사회, 정치적 황폐화의 원인이 무엇인지 비판한다. 재정적자의 기하급수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안전 네트워크는 부실하기 그지없다.(44) 전쟁이 사회적 복지와 정치적 권리, 경제적 효율성을 담아내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전쟁산업이 활황을 누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저자는 묻는다. ㉡전쟁은 불가피한 것인가? 미국이 벌이는 전쟁이 과연 정의로운가? 그러한 예방전쟁이 시민의 안전을 보장해주는가? 그러한 제국의 평화를 위한 ㉢전쟁의 피해자는 누구인가? 국방비로 인해 우리는 무엇을 잃어버리고 있는가? 전쟁의 구체적 피해자인 제3세계 세계시민들에게 과연 보편적 정의를 이야기할 수 있는가? 전쟁의 현실주의적 불가피성을 지적하며 정치윤리의 힘과 가능성을 비웃는 이들에게 그들이 숨기고자 하는 이해관계가 무엇인지 드러내는 좋은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