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론: 새로운 시작 - Tron: Legac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982년 당시 아주 획기적인 소재와 이야기로 영화팬들을 사로잡았던 그 이야기의 후속편을
2010년 말미에 접한다는 것은 개봉 전부터 참으로 사람들의 흥미를 자극하기에 손색이 없었습니다.
1982년 <트론>을 만들었던 스티븐 리스버거 감독은 기꺼이 이 영화의 제작에 참여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런데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이런 관심에 이 영화는 그리 부합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물론 전보다는 영상과 기술적인 면에서 많은 발전을 보인 것은 사실입니다.
클루 역으로 제프 브리지스의 젊은 모습을 다시 대할 수 있다는 것도 놀라왔습니다.
그러나 소재나 이야기를 끌고 가는 전개에 있어서 전편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드러내고 말았습니다.
아니, 전편에서는 악당으로 그리드 세계 속의 마스터 콘트롤 프로그램과 샤크,
현실에서는 거대한 컴퓨터 게임회사 부사장 딜리건을 동시에 상대해야 하는 이중적인 구조였다면
이 영화에서는 철저하게 그리드 속 악당이 된 플린의 복제물 클루만을 상대하면서 이야기가 참 단순화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영화만 봐도 그리 상관은 없겠지만,
그리드로 넘어가는 통로가 되는 플린의 아케이드라든지,
예전 모습을 잃고 린즐러라는 이름으로 클루에 복종하고 있는 트론이라든지...
영화 속에서는 잘 느껴지지 않지만 이번 클루가 왜 2.0 버전인지...
이런 배경과 등장인물 관계도는 이전 영화를 보았다면 이야기의 이해폭이 훨씬 더 넓어졌을 것입니다.
 

전편이 플린과 앨런 그리고 로라, 이들이 만든 복제 프로그램 클루와 트론 그리로 요리의 삼각구도를 중심으로 디지털 세계인 그리드와 현실 세계를 오가며 이야기가 나름 박진감 있게 전개된 데 반해 이번 영화는 앨런이 등장하긴 하지만 비중도 약하고 트론도 거의 얼굴을 드러내지 않고 출연도 별로 않고...
철저하게 사라진 아버지 케빈 플린를 찾아 나선 아들 샘 플린...이렇게 이어지는 플린 가의 이야기입니다.
 

비록 이번 영화에서는 전편에 사용된 배경과 도안이 많이 발전하고 보완되었지만
3D 효과도 CG에 많이 묻혀버린 것 같고 영화적인 임팩트도 <아바타> 등과 비교해서 많이 약하지만 또 생각처럼 그리 만족스럽지 않은 모습이 많이 보였지만
오히려 개인적으로는 계속될 트론의 이야기가 기다려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영화의 주 제목처럼 트론이 다시 예전처럼 보안 감시 프로그램으로서 제대로 역할하는 내용의, 그리고 앨런과 이번에 빠진 등장인물 로라가 중점이 되는 후속편을 더 기대해봐도 좋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즌 오브 더 위치 : 마녀호송단 - Season of the Witch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월요일에 시사회를 보고 왔는데...상영시간이 90분이 살짝 안 되더군요.

2011년 첫 판타지 액션대작이라는 광고 문구가 무색할 정도로 영화는 전체적으로 평범했습니다.

영화가 시작되고 마녀 처형식 장면이 나오더니 연이어 장소별로 십자군의 계속되는 전투 장면을 보여줍니다.

물론 이 영상이 그리 역동적으로 그려지지는 않았지만,

니콜라스 케이지와 론 펄먼의 몸이 많이 둔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나마 스케일이 큰 것 같다는 인상을 주는 것은 영화를 통틀어 이 장면 밖에 없다고 할까요?

영화는 초반 주인공 베이먼이 자신의 신념과 종교적인 맹신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그리고 이런 부분이 마녀를 호송하는 중간중간 살짝 엿보이기도 하지만 단순히 그뿐일 따름입니다.

영화는 어느새 단순하고 그리 색다를 바 없는 그리고 충분히 예측 가능한 수순으로 진행되어

결국 '솔로몬의 열쇠'라는 책을 두고 호송단과 악마의 한판 대결로 마무리 됩니다.

최근 영화 속에서 우리나라에서 이렇다할 인상을 별로 심어주지 못하고 있는 니콜라스 케이지는

이번 영화에서도 주인공을 맡았지만 <마법사의 제자> 때처럼 뻔한 캐릭터를 연기할 뿐입니다.

그의 단짝 태릭터로 이 영화에 출연하고 있는 론 펄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이 영화를 통해 연기자로서 새롭게 발견한 재목이라고 한다면

아무래도 소녀의 이중적인 면모를 자유자재로 드러내고 있는 클레어 포이라고 할까요?

물론 마지막 악마로 변하는 과정은 CG를 비롯하여 다소 실망스럽지만,

관객들이 보는 내내 그가 진짜 마녀일까 아닐까의 경계에서 호기심을 갖고 집중하게 되니 말입니다.

참고로 그는 패션지 <나일론>에서 최근 진행한 '떠오르는 헐리우드 55인'에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도미닉 세나 감독의 전작 <식스티 세컨즈>(2000), <스워드피쉬>(2001)에서는

전체 진행이 참으로 빠르고 숨막히는 긴장감도 느껴었는데,

이번 영화에서는 늑대에게 쫓기는 장면 정도를 제외하면 그런 그의 장점들이 잘 표현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그에게 이런 판타지 액션은 잘 맞지 않는 옷은 아닐런지...

개인적으로 지난 번 <솔로몬 케인>보다는 이 영화가 낫다고 여기지만 그리 빼어난 구석은 별로 없습니다.

단순히 시간 때우기 용 B급 영화라고나 할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페 느와르 - Café Noi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98분 짜리 영화...그것도 액션이나 스릴러 영화도 아닌 일반 드라마 같은 국내 영화인데...
왠만한 인내심과 영화에 대한 관심이 없으면 그 시간을 끝까지 지켜내기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미 평론가로서 이름을 떨친 정성일 씨가 이번에는 직접 영화를 만들었다니
한 편에서는 그간 신랄하게 평을 당한 다른 감독들의 시선을 어찌 감당할지...
다른 편에서는 평론가로서 그의 궤적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녹아들어 표현되었는지 자연스럽게 궁금해집니다.
 

영화는 한 남자, 초등학교 음악 선생님 영수와 그와 이래저래 관계된 여성들의 이야기입니다.
전체적으로 대사가 문어체로 이루어져 있기에 마치 한 편의 책을 누군가 대신 읽어주는 양,
혹은 어떤 연극에 올려진 배우들의 모습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신하균, 정유미를 비롯한 출연배우들의 역량이 아주 잘 드러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서울 곳곳의 배경도 이에 따라 한껏 낯선 무대를 대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감독도 이미 다른 곳 인터뷰에서 언급했듯이...
이 영화는 분위기나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 것이
마치 괴테의 명작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듯한 영화였습니다.
그런데 그것을 쉽게 음미하도록 영화는 그리 친절하지 않습니다.
영화 속 진실에 다가가면 갈수록 자꾸 낯선 이미지나 이야기들이 불쑥불쑥 나오니 말입니다.
결국 영화가 상영되는 그 긴 시간 동안,
실제로 90분 정도를 남겨둔 시점에 가서야 제대로 된 영화제목과 주연배우 이름이 나오는 장면을 대하게 되는데,
우리는 그 전후로 한 남자의 죽음으로 가는 마지막 길을 동행하고 있었던 셈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영화는 정말 두 번 못볼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스트 갓파더 - The Last Godfathe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이제 심형래의 슬랩스틱 코미디는 그닥 인상적이지 않은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 주말엔 무슨 영화를 볼까?> 1월 1주

 아이들이 좋아하는 만화영화...팽이대전이 다시 극장판으로 돌아왔네요...^^ 

내 친구의 소원 시한부 삶의 친구를 위해 그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려고 부단히 애 쓰는 친구의 이야기...때로는 코믹하게...때로는 진지하게..나름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 13일에 다소 많은 영화들이 개봉하는 관계로 이번 주는 별로 없네요..그래도 영화와 함께 즐거운 한 주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