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심은 사람
장 지오노 지음, 마이클 매커디 판화, 김경온 옮김 / 두레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현자'와 같은 삶을 산 양치기를 모델로 ,작가가 짧지만 임팩트 강한 또 깊이를 담은 교훈서, 잠언집 같은 책이다. 그러나 책은 전혀 교훈적 티를 내지 않는다. 그건 이 책의 최대의 장점이고 작가의 뛰어난 역량이기도 하다.


이 책은 관념적이지 않다. 구체적 삶의 모습을 담담히 평이하게 그러나 함축적 표현으로 그려내고 있다. 그래서 교설이 없고 겉멋이 느껴지지 않는 건강한 책이다.


또한 이 책은 지극히 정치적인 책이다. 저자는 주인공의 나무 심는 행위를 통해 정치란 무엇인가? 즉 정치란 우리 일상적 삶이란 것을 조용한 웅변으로 은유하고 있다.


주인공의 사심없는 나무 심는 행위는 숲을 이루어 탐욕과 싸움, 경쟁으로 해체된 공동체를 복원시켰다. 바로 그 공동체를 복원시킨 주인공의 '나무 심는 행위'는 우리에게 우리의 공동체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하는 즉 정치적 행위를 고민하게 하는 은유적 상징행위인 것이다.


주인공의 나무심기가 공동체 복원에 이르게 한 데는 두가지의 행운이 있었다. 한 가지는 숲의 사냥꾼들이 숲을 인공적인 노력에 의해서가 아닌 자연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무시하고 넘어갔가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공무원들이 간섭하지 않고 숲을 보호해 주었다는 것이다. 


결국 이건 시스템이고 정치가 개입된다. 한 개인의 고독한 삶도 결국은 사회의 시스템과 관련되는 것이고 전체와 분리될 수 없음을 잘 보여준다. 우리가 시스템의 건강성에 늘 관심을 보여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바로 이 이야기 혹은 소설이 정치적일 수 밖에 없는 배경이다.


주인공은 나무를 그냥 심은 게 아니고 토양에 맞는 나무를 선택해 심었다. 어떤 나무가 좋은 나무일까? 


얼마전 모 유명대학 교수가 세월호 학생들이 생각하는 힘이 부족해 죽었다는 발언을 했다는 믿을 수 없는 뉴스가 있었다. 더 문제는 그 이야기를 '생각하는 사람이 되자'라는 이야기를 하면서 예로 들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생각하는 그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생각을 어떻게 하느냐가 진짜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나무를 심는게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나무를 심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이것이 '나무를 심은 사람'이 정치적일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된다. 정치는 곧 우리의 삶이다. 우리가 어떤 정치적 선택을 할 것이냐는 곧 우리의 삶이 어떤 삶이 될 것이냐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가 또 인문학이 필요한 지점이기도 하다.    


우리에게 인문학이 무엇인가를 이 책은 '자기를 속이지 않았고', 또 '자기가 성취한 것을 소유하려 하지 않았던' 한 현자의 삶을 통해 진솔하게 묻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