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교과서 국정화, 왜 문제인가 - 교과서 국정화의 역사와 현 단계 쟁점 읽기
김한종 지음 / 책과함께 / 2015년 12월
평점 :
저자가 역사교육학 부문에서 인정받는 실력자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나는 저자의 논문이나 저술, 각종 글을 볼 때면 혼란에 빠지곤 한다. 왜냐면 예전의 좋지 못한 기억 때문이다.
몇 년 전 모 일간신문에 저자는 칼럼을 쓰고 있었는데, 그 중 조선 영조와 정조에 관한 글이 있었다. 그런데 저자는 여기서 영조와 정조가 왕호에 조자가 붙은 것은 그들의 문화적 공적 때문이라고 썼다.
사실과 다르기 때문에 나는 그것은 사실과 다르고 실은 이러하다고 그에게 이메일을 보냈다. 공개적으로 질문할까 했지만 사실이 아님이 명백했음으로 혹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올까 염려해서 개인 이메일로 보냈다.
그러나 돌아온 답은 뜻밖이었다. 답변의 요지는 이랬다.
1. '선생님(즉 나이다)의 지적이 맞을 것이다'. '것이다'라는 표현을 썼다. 이는 역사교육학 전공이긴 하지만 그래도 역사관계 학자로서는 적절하지 못한 멘트다. 스스로 확인해 보고 답을 했어야 했다.
2. 그리고 '그렇지만 (즉 내말이 맞을 것이지만) 별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이었다. 그 자체야 -즉 임금 이름이 조냐 종이냐 하는 문제 - 별 문제가 아닌게 맞다. 그러나 잘못된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보는 신문을 통해 기술한 것은 별 문제가 아닌 게 아니다. 그것은 반드시 사실을 바로잡아야 하는 문제다.
이상하게 사람들 - 전문학자라는 사람도 마찬가지지만 - 자신의 잘못을 좀히 솔직히 인정하려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전문학자라면 더욱이나 존경받는 학자라면 그래서는 안된다. 더욱이 무엇보다 사실과 역사적 가치를 중시하는 역사관계 학자라면 더욱 그렇다. 그렇기 때문에 실망이 더 컸다.
그 이후 나는 그의 학자적 명성에도 불구하고 그의 글은 어지간해서는 보지 않는다. 그러면서 생각을 했다. 학자적 명성과 개인적 경험이 상충될 때 어떻게 해야할까?
참 평점을 주기가 애매하다. 책을 보진 않았지만 내용만으로는 별 다섯이 줘도 문제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난 책과 저자는 분리될 수 없다는 생각이 있으므로 적어도 나 개인으로는 둘을 결합해서 별 셋을 준다.